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행동학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본 뒤 똑같이 따라해 자물쇠를 풀었다.아우어슈페르크 박사는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인간
과 도구를 사용하는 침팬지만이 이런 자물쇠를 풀 수 있다”며 “피핀은 훈련받지 않고도 자물쇠 를 푼 첫 번째 동물”이라고 말했다.이미지 출처│ Alice Anerspreg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나타나는 지역이에요. 특히 북극곰의 먹이가 점점 줄어들고 환경이 악화되면서 북극곰이
인간
가까이 다가오는 경우도 많죠.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하여 기지 외부로 나갈 때에는 반드시 총을 갖고 가야 해요. 총기는 현지에서 하루동안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받는데 교육비는 약 40만원이랍니다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실종자들이 가장 먼저 이름을 잊는 이유인지도 모른다.우주는 그토록 좁다.
인간
과
인간
이 아닌 이들의 이름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이다. 그 중 대다수는 과거를 잊고 다시 활동할 테고, 누군가는 지쳐서 작동을 멈추고 자발적으로 영원한 휴식을 선택하든가 사고를 당해 정지하기도 할 것이다. 나와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적은 이유는
인간
이라는 종 자체가 태어난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요.
인간
이 생겨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오랫동안 각지에서 살아왔던 여러 화석 속 인류는 현생인류에 포함되지 않고 ‘친척’이 됩니다. 즉 직접적인 조상이 아니지요. 네안데르탈인이 바로 그 예입니다. 그런데 이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유이다. 빅데이터로 트렌드를 알아낸다“2012년에 만든 데이터의 양이 그전까지
인간
이 만든 총 데이터양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2012년을 포함해 그 이전까지 만든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만들 것입니다.”조 교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쉽다앞서 소개한 개미의 수 세기와 간단한 셈 능력은 기본적인 수학 능력이다. 물론 우리
인간
이 보기에는 초보적인 수준이며, 엄밀히 말해 수 세기보다는 거리나 양을 측정하는 능력에 가까울 수 있다. 하지만 개미 한 마리가 아니라 개미 집단이 되면 그 수준은 크게 올라간다. 집단지성을 이용해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거의 완성단계다.토르는 본래 미국 해군 연구과제로 개발하던 ‘사파이어(SAFFiR)’라는
인간
형 로봇을 DRC용으로 재차 개발하고 있다.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휴보와 달리 주사기처럼 피스톤이 앞뒤로 움직이는 전동식 인공근육(리니어 액추에이터)을 동력원으로 쓰고 있다.1차 중간점검을 마치고 ...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북극 옵저버다산기지의 활약을 보기 전에 먼저 니알슨 지역에 대해 알아봐요. 이곳은
인간
이 거주하는 곳 중에서 가장 북극에 가까운 지역이에요. 이곳에 오면 여러 나라의 연구소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남극 킹조지섬에 있는 세종기지는 우리나라만 독립적으로 연구기지를 ... ...
홈스테이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비
인간
적인 무기. 똑같은 외형을 하고 있어도, 반드시 사람이 타게 돼 있는 기계는
인간
의 신체활동을 돕는 강화복으로 분류돼서 불법이 아니었다. 하지만 독립된 신경망을 갖춘 ‘로봇’은 거의 모든 나라에서 불법이었다.‘인종청소야. 저들은 그 폭력을 통제조차 안 할 생각이야. 저 야수를 ... ...
로봇랜드에 숨겨진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 머리‧몸통‧팔‧다리를 갖춰
인간
과 유사한 형태의 로봇인 ‘휴머노이드’지.나는
인간
처럼 걷고 말할 수 있어! 나처럼 멋진 휴머노이드가 탄생하기까지 로봇공학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단다. 함께 휴머노이드의 역사를 살펴볼까?휴머노이드의 천국, 로봇랜드팔다리도 짧고 머리 큰 로봇이 ... ...
이전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