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다시 과학자들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찾았다. 이처럼 물리 이론의 발달이란, 인간이 관찰하는 세계의 범위가 늘어나면서 기존 이론이 들어맞지 않게 되면그보다 더 포괄적인 이론을 개발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지금 물리학은 어디까지 와 있을까. 지난해 7월 힉스를 발견하면서 ...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해도 미래에 자연발생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이번 판결은 인간의 유전자가 특정 개인의 것이 아니라 인류 모두의 자산이라는 점을 되새겨 줬다. 유전자뿐만 아니라 단백질, 세포 등 적어도 생명체에서 나온 모든 것은 생명에게 권리가 있다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개발된 GM 농산물은 주로 미생물에서 얻은 유전자가 포함돼 있다. 앞으로 동물이나 인간의 유전자가 이식된 GM 농산물이 승인될 수 있다.소비자가 접할 GM 농산물의 종류도 다양해질 것이다. 콩, 옥수수, 면화, 유채 외에도 토마토, 사과 등 야채와 과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특히 한국인의 ... ...
- 30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아리따운 모습을 주변에서 쉽게 찾아보기는 어려울 거예요. 길에서 볼 수 있는 비둘기는 인간에게 길들여진 집비둘기 종이 대부분이거든요. 우리나라에서도 도시를 중심으로 비슷한 형태의 회색이나 흰색 비둘기를 어디서나볼 수 있지요. 하지만 실제로는 전 세계에 사는 비둘기 종류는 무려 300여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세상에 이런 일이!’의 최 PD입니다. 제가 놀라운 이야기 하나 해 드릴까요?글쎄, 인간도 어려워하는 ‘수학’에 통달한 동물들이 있다고 합니다! 거짓말이라고요?저도 처음에는 못 믿었죠. 하지만 제가 누굽니까?직접 숲속과 바닷속, 그리고 북극까지 가서 그 놀라운 생물들을 만나고 이제 막 ...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적이 없습니다. 백번 양보해서 애니멀 커뮤니케이터가 동물의 억울한 마음을 알아낸 뒤 인간의 언어로 풀어낸 거라고 해 보지요. 그게 진짜 동물의 생각인지 어떻게 증명할까요?서점으로 달려가 애니멀 커뮤니케이터에 대한 책을 찾아봤습니다. 아멜리아 킨케이드, 리디아 히비 같은 해외 애니멀 ...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우울증 증상도 더 많이 겪었다.저녁형 인간, 혹은 밤늦게 활동해야 하는 아침형 인간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많은 손해를 보는 셈이다. 학교든 회사든 구성원이 각자 최적의 시간대에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면 사회적으로도 큰 이익이 되지 않을까. 앞으로는 속담을 이렇게 바뀌어야 ... ...
- PART 1. 테스토스테론은 진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늘어나고, 분비된 테스토스테론이 원숭이의 공격적인 행동을 강화시킨다고 결론 내렸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사건을 일으키기 직전 포스코 왕희성 상무나 윤창중 전 대변인 같은 ‘슈퍼갑’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측정해 봤다면 아마 최대치가 아니었을까.갑이 을을 가혹하게 대하는 까닭은 ... ...
- 산호 위에 사람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산호와 함께 살아가고 있으며, 지금도 새로운 종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그 위에는 인간이 삶의 터전을 꾸리고 있다. 산호가 없다면 남태평양이 존재할 수 있을까. ▼산호를 서식지로 삼고 살아가는 열대어.▼산호 근처를 유유히 헤엄치는 열대어.▼산호 모래 위에 야자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다시 ...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예일대 물리학과 교수는 그의 저서 ‘야구의 물리학’에서 체인지업이 효과적인 이유를 인간의 시각능력과 지각능력 사이의 차이로 설명하고 있다. 공을 타격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스윙을 하기 전 스윙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타자는 투수가 공을 던진 뒤 약 0.225초에 스윙여부를 판단하고 0.15초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