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된 3D 몽타주 시스템은 현재 전국 경찰청 8곳에서 활용 중이며, 내년에는 더 많은 곳에 보급될 예정이다. 범인을 검거하기 위해서는 몽타주를 공개한 뒤 빠른 시간 내에 제보를 받는 일도 중요하다. 과거에는 몽타주를 붙여놓고 용의자를 발견한 누군가가 제보하기만 기다렸다. 하지만 3D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y)하는 함수(F)를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판의 모양에 따라 어떤 곳에 돌을 두는 것이 이길 가능성이 높다는 직관을 갖고 있다. 이 직관으로 게임을 한다. 컴퓨터도 판의 모양을 패턴으로 보고 다음 수를 결정할 수 있겠지만, 확실한 방법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해 실제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NIH식 표현이다. 융합과 협력 연구에 비중환자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NIH의 구호는 이곳 연구자들을 평가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NIH가 운영하는 연구과제는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도는 섬모의 중차대한 역할그럼 여기서 질문이 하나 생깁니다. 수정란은 어디 하나 모난 곳 없는 둥근 공 모양입니다. 좌우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죠. 그렇다면 배아 발달 중에 좌우 비대칭은 언제,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요? 쥐의 발달을 살펴보면 수정 후 7일째 ‘노드(node)’라는 부위에서 좌우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더하는 점수 중에 반드시 홀수가 있어야 해요. 그런데 다트 보드의 7, 19, 3, 17이 모여 있는 곳을 겨냥하면 별다른 위험을 감수하지 않아도 홀수를 맞힐 수 있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지요. 8과 16이 붙어 있으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28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14점 더블을 향해 던진 다트가 ... ...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결론을 내렸다. 연구팀은 지구에 충돌하는 엄청난 양의 양전자가 펄서 이외에 다른 곳에서도 나와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 10.1126/science.aan488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능성을 제시했다. 평양 강남군에 설립된 평양생물기술연구소는 농약 생산에 특화된 곳으로, 수천 t(톤)의 비료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노동신문에 공개된 사진에서는 최신식 장비들이 눈에 띈다. 문제는 이 장비가 농약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살충제를 만드는 데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보니 장난감 뒤에는 만화책도 즐비하네요. 장난감 박물관이냐고요? 만화 카페냐고요? 이곳은 수학자의 연구실입니다. Q. 자기소개를 해주세요.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응용수리과학부에서 ‘수치해석★’을 연구하고 있는 수학자 황운재입니다. 제 취미는 장난감과 만화책 모으기에요. 20여 년 전 ...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일부분이 우연히 깎여서 낮아지면 그곳은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져요. 빨라진 물은 그곳을 더욱더 빠르게 깎아내고, 그 지역은 더 낮아지죠. 반대로 주변의 깎이지 않은 높은 지역은 물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느려요. 물의 흐름이 느리면 흙이 바닥으로 가라앉아서 그 지역을 더 높게 만들죠. 이렇게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정보를 입력하면 주변의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게 돼요. 불이 난 곳의 지형과 나무의 종류도 중요한 정보죠. 이 정보들을 분석하면 시간대별로 불이 어디로 어떻게 번질지 예측할 수 있어요.◀ 이번 강원도 삼척시 산불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 산불 발생지에서(흰색 세모)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