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려를 낳고 있다. 액상화 현상은 지진으로 지반이 변형 되면서 유출된 지하수가 지반 곳곳에 스며들어가 땅이 물렁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땅이 물렁해지면 지반이 쉽게 가라앉을 수 있다.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진앙에서 반경 4km 이내의 약 30군데 지역에서 액상화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된 3D 몽타주 시스템은 현재 전국 경찰청 8곳에서 활용 중이며, 내년에는 더 많은 곳에 보급될 예정이다. 범인을 검거하기 위해서는 몽타주를 공개한 뒤 빠른 시간 내에 제보를 받는 일도 중요하다. 과거에는 몽타주를 붙여놓고 용의자를 발견한 누군가가 제보하기만 기다렸다. 하지만 3D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y)하는 함수(F)를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판의 모양에 따라 어떤 곳에 돌을 두는 것이 이길 가능성이 높다는 직관을 갖고 있다. 이 직관으로 게임을 한다. 컴퓨터도 판의 모양을 패턴으로 보고 다음 수를 결정할 수 있겠지만, 확실한 방법은 둘 수 있는 모든 지점에 대해 실제로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NIH식 표현이다. 융합과 협력 연구에 비중환자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NIH의 구호는 이곳 연구자들을 평가하는 데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NIH가 운영하는 연구과제는 보통 NIH 소속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내부 연구 프로그램’과 연구소 밖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외부 연구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강은 인류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한강이 서울의 젖줄이고 낙동강이 영남의 젖줄이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세계 1위 강대국이라 ...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양조장도 미국에서 인구 수 대비 가장 많은 곳 중 한 곳이라고 하니, 수제맥주와 함께 드시길 추천합니다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능한 유인원으로 진화했어요. 만일 다른 생태계에서도, 지하의 유황 동굴 같은 곳에서도 동일한 과정이 일어났다면요? 역시 부정할 수 없어요. 모르는 일이라고요.” TV에서는 익숙한 지질학자의 얼굴이 보였다. 이번에는 천연가스 화재 현장 주변에 매설된 광케이블이 무슨 문제가 될 수 있다는 ... ...
- Part 2. 재료를 준비하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푸드트럭은 반짝 장사다. 서울밤도깨비야시장도 매주 이틀만 운영한다. 다음날 장사할 곳이 없으면 남는 재료는 모두 버려야 한다. 둘째, 수요★가 불확실하다. ‘대략 100개’처럼 수요를 예측해서 준비해야 한다. 수요★고기마니와 같은 재화를 일정한 가격에 사려고 하는 욕구. 고기마니의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더하는 점수 중에 반드시 홀수가 있어야 해요. 그런데 다트 보드의 7, 19, 3, 17이 모여 있는 곳을 겨냥하면 별다른 위험을 감수하지 않아도 홀수를 맞힐 수 있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지요. 8과 16이 붙어 있으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28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14점 더블을 향해 던진 다트가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뤄지는 개미집 밖은 황폐화 됐거든요. 이 때문에 개미들은 그곳에서 죽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했고, 4개월 후에는 개미의 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관찰됐답니다.이렇게 산불로 숲을 떠난 동물들이 다시 돌아오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려요. 전문가들은 동물의 회복 속도는 식물의 회복 속도에 달려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확인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2002년 6월 북한과 러시아, 중국의 국경지대 지하 깊은 곳에서 규모 7.3의 자연지진이 발생한 뒤 그해 7월부터 3년 반 동안 백두산에서 화산활동에 의한 지진이 3000회 이상 발생했다. 백두산 화산 활동 관측 장비는 중국 정부가 직접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최근 북한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