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위치한 애틀랜틱연구센터는 해군 방위 기술에 특화돼 있습니다. 재료 실험실을 두 곳이나 운영하면서 해군 군용 차량에 들어가는 화학, 야금 기술을 연구합니다. 그런가 하면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 있는 연구센터에서는 군인의 안전과 건강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 마리 양떼가 모여 있는 곳에 개를 풀어 양 떼와 개의 움직임을 기록했지요. 매 순간 양들의 위치를 기록했는데, 양떼는 무리의 중심으로 몰렸습니다. 천적이 등장하면 가장 안전한 중앙으로 몰린다는 해밀턴의 가설이 들어맞은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그곳에서 보물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부푼다. 하지만 귀신지도에 표시된 곳에서 하리 일행을 기다리는 건 외눈박이 귀신 ‘키클로스’였다. 키클로스는 보물을 탐내는 사람들을 자신이 만든 미로로 이끈다. 만약 문제를 풀지 못하거나 미로를 탈출하지 못하면 이들의 목숨을 빼앗는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저쪽 팔 허리 뒤로 돌려.”남자는 하림의 두 손에 수갑을 채워서 앞장세웠다.본체가 있는 곳에는 사람이 많이 모여 있었다. 연구원들도 분주하게 뭔가 작업을 하고 있었다.부산스럽던 공간이 하림이 들어서자 일순간에 조용해졌다. 다들 쳐다보는 시선이 곱지 않았다.지휘관인 듯한 사람 한 명이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정보를 입력하면 주변의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게 돼요. 불이 난 곳의 지형과 나무의 종류도 중요한 정보죠. 이 정보들을 분석하면 시간대별로 불이 어디로 어떻게 번질지 예측할 수 있어요.◀ 이번 강원도 삼척시 산불의 확산을 예측한 결과. 산불 발생지에서(흰색 세모) ... ...
- [과학뉴스] 스스로 빛을 내는 버섯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벌이나 딱정벌레, 파리 등의 관심을 끌어요. 그래야 이들의 몸에 포자를 붙여서 더 먼 곳까지 번식할 수 있거든요.지금까지 버섯이 어떻게 빛을 내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어요. 그런데 최근 브라질과 러시아, 일본 공동 연구팀이 이 비밀을 밝혀냈답니다. 연구팀은 브라질의 ‘네오노토파누스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훨씬 이전에 공룡 뱃속에 있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간혹 공룡의 골격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공룡의 위석으로 보이는 작은 돌무더기들이 발견되기도 해요. 과학자들은 공룡들이 구토를 하는 과정에서 위 속에 있던 위석이 몸 밖으로 나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어요. 이 위석들을 잘 연구하면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고둥이 소라게보다 많지요. 그 결과 우리나라 소라게는 여러 고둥껍데기 집들 중 원하는 곳을 골라 들어갈 수 있어요.하지만 안심하기엔 일러요. 해양 산성화는 세계적인 추세고, 바다는 서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의 진해만에서는 여름철 저층의 pH가 7.3~7.4까지 떨어진 것으로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같은 거리에서 측정한 것처럼 비교할 수 있는 단위를 개발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한 곳(진앙)으로부터 100km 거리에서 우드-앤더슨 지진계에 측정된 지진파의 최대 진폭의 상용대수(상용로그) 값을 기준으로 삼았다. 우드-앤더슨 지진계는 지반의 움직임을 약 2080배 정도 증폭해 기록하도록 고안됐다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돌거나 잠수함이 나아가는 등 속도가 빨라지면 유체의 압력이 수증기압에 비해 낮은 곳이 생긴다. 이때 압력이 낮아진 물속에서 기체가 빠져 나온다. 또 다른 공동 현상이다. 발생한 기포가 압력이 높은 지역으로 이동하면 다시 액체로 돌아가려 하는데, 이때 큰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소음이나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