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로 정수기 필터 만들었다과학동아 l2014.04.06
- 층은 가로로, 그 위층은 세로로 번갈아 쌓는 작업을 반복했고, 그 결과 두께가 10~3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그물망 구조의 분리막을 얻었다. M13 바이러스로 만든 분리막(초록색)을 수면 위에 띄워 놓은 모습. - 유필진 성균관대 교수 제공 연구진이 이 분리막을 시험한 결과 단위 시간 동안 1m ... ...
- 클로렐라에서 바로 바이오디젤 얻는다과학동아 l2014.04.01
- 포함된 전체 녹조류의 30%에 불과해 그간 효율이 크게 떨어졌다. 연구팀은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단위의 점토성분과 이산화티탄을 섞어 새로운 응집제를 만들었다. 이 물질을 클로렐라가 살고 있는 물 속에 섞어 주자 10분 만에 물 속 클로렐라의 85% 이상이 흡착됐다. 이 과정에서 물 ... ...
- 반도체 공장 '불산' 대체 천연물질 찾았다과학동아 l2014.03.31
- 발표했다. 연구팀은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천연 실크 단백질을 공정에 활용, 10nm(나노미터, 1nm은 10억 분의 1m) 규모의 반도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독성 화학물질을 사용했을 때와 같은 수준이다. 연구팀은 “향후에는 천연소재인 실크를 활용한 고효율 바이오센서나 ...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과학동아 l2014.03.31
- 발달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낸 것. 연구팀은 실리카(이산화규소)로 수 백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슬을 만들고 이를 이어붙인 신경세포 크기의 기판을 만들었다. 여기에 신경세포를 붙인 실험에서 실리카 구슬의 크기가 커질수록 신경세포의 성장속도가 한층 빨라진다는 것을 ... ...
-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 동시에 한다과학동아 l2014.03.27
- 0.5초 내에 측정할 수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미세현미경의 분해능력은 17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로 머리카락 두께(100μm)의 1/6 수준. 사람의 염증세포는 10μm 정도여서 아직 완벽한 검사는 어렵지만 암세포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분해능력을 추가로 보완하면 내시경 ... ...
- 3D ‘나노’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4.03.27
- 주목받고 있는 3D 프린터가 노즐에서 나오는 소재를 한 층씩 쌓아올리는 모습을 보며 나노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세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진은 ‘주사기’에 고분자 용액을 담고 180nm 굵기의 주사기 바늘로 내보내면서 고전압을 걸어줬더니 ‘나노 실’이 일정하게 ...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동아사이언스 l2014.03.25
- 형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바이셉2 망원경에는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하는 볼로미터(에너지 측정 장치) 512개가 들어간 패널이 장착돼 있다. - Anthony Turner, JPL 제공 국제공동연구팀이 우주배경복사에서 관측한 것은 인플레이션 때 나온 중력파에 영향을 받은 흔적인 ‘원형 편광(B 모드)’이다. ... ...
- [기자의 눈] 미세먼지의 습격, 법이 제일 큰 문제다과학동아 l2014.03.25
- 황사와 함께 미세먼지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가 연일 터져나온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만분의 1m) 이하인 초미세먼지는 입자 크기가 워낙 작아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곧장 폐포까지 침투해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호들갑을 떨기도 한다. 하지만 정작 ... ...
- 휘어지는 태양전지, 신문처럼 찍어낸다과학동아 l2014.03.25
- 위의 작은 태양전지들을 직렬로 배열해야 하는데, 미세한 유기 태양전지들을 마이크로미터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를 직렬로 연결하는 공정이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직렬 연결을 위한 기판 면적을 확보하다 보면 태양전지의 유효 면적을 늘리기 어려워 제작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과학동아 l2014.03.25
- 외부는 ‘폴리 무수물’이라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감쌌다. 배터리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1μm=100) 정도로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미세전류가 필요한 체내 의료 장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로저스 교수는 체내 이식형 배터리 전문가로 지난 1월에도 인체이식형 배터리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