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하지만 필요에 따라 부재료의 함량을 조절해 발효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큰
차이
는 없지만 마늘이나 고춧가루가 김치의 발효를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단시간에 김치를 빨리 익히고 싶은 경우라면 마늘과 고춧가루 함량을 평소보다 늘리자. 반대로 소금함량은 높을수록 발효가 잘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막아 태양의 크기를 유지한다. 만일 이 균형이 깨지면 항성의 크기가 증가 혹은 감소하고
차이
가 심한 경우 폭발한다. 이러한 과정은 항성의 질량에 의해 진행된다. Q. 생각해 봅시다 핵융합 이외에 질량 결손에 의해 에너지가 발생하는 경우로 핵분열이 있다. 인위적 핵분열은 질량수가 큰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들면 목성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을 외계인이 관측한다고 하면, 목성과 태양의 반지름
차이
가 약 1/10이기 때문에 태양의 밝기는 약 1/100, 즉 1% 정도 변화가 나타난다.지구가 태양을 가리면 이보다 훨씬 적은 0.008% 정도만 밝기가 변한다. 이 방법으로는 별인지 행성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인종
차이
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질 것이다. 만약 서로 아이를 낳을 수 없을 정도로
차이
가 벌어진다면 두 집단을 인류라는 한 종으로 인정할 수 있을까.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고려해야 할 게 많다. 그 중 하나가 토착생물이다. 인류가 이주하기에 적당한 행성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생명이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1876년 그레이와 벨은 딱 두 시간의
차이
를 두고 전화기 특허를 신청했다. 이 두 시간의
차이
가 두 사람의 처지는 물론 역사의 기록을 갈랐다. 그레이는 1874년 이미 전화기를 공개 시연하며 이름을 날렸지만고작 두 시간 늦었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권리를 벨에게 뺏겼다. 당시 벨이 특허를 출원했던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학생을 보면서 우리나라 학생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우리나라 수학교육과 가장 큰
차이
점은 제도에 있다. 학생의 진로에 따라 4년제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은‘학문적인 수학’을 배우고, 2년제 대학 진학이나 중등학교 졸업만을 원하는 학생은‘응용 수학’을 배운다. 두 수업은 교과서뿐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노벨 수학상이 더 우수한 학생을 수학 연구에 참여시켰을지 모르지만 지금과 큰
차이
는 없었을 것”이라며 비슷한 의미의 말을 했다. 노벨상이 없다고 수학 연구를 덜 한 것도 아니고,있었다고 해서 수학 연구가 특별히 더 나아졌을 가능성도 많지 않았다는 얘기다.그렇지만 김도한 교수는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존할 수 없다. 사람이 음식을 먹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체지방 양에 따라
차이
가 있다. 어른이라면 몇 주~몇 달까지 견딜 수 있다. 살이 많이 찐 사람이 조금 더 유리할 수 있다. 보통은 자기 체중이 50% 정도 감소할 때까지 살 수 있다.사람은 혈당이 부족하면 간이나 근육에 저장해 둔 ... ...
배다해와 장재인의 노래 비법이 궁금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원장은 “가수가 얼마나 애절하게 부르는가에 따라 관객이 느끼는 감동의 크기는 천지
차이
”라고 말했다.발성은 호흡으로 마신 숨을 뱉을 때, 어떻게 성대와 정확한 울림통을 지나 나오느냐는 것이 관건이다. 발성이 잘 되면 노래할 때 넓은 음역대를 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이 대중가수에게 ... ...
응급구조, 인공호흡보다 흉부압박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CPR을 한 경우는 아무 응급처치를 하지 않은 채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생존률(5.2%)과 큰
차이
가 없었다. 보브로우 연구원은 “2005년에는 20%에 불과하던 흉부압박 응급구조의 비율이 2009년에는 76%으로 늘어났다”며 “하지만 전체적인 생존률은 오히려 약 2.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예일대 의대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