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번호를 사용하는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나누어 주었기 때문에 가짓수가 많이 줄어들었다. 이는 순서를 생각하는 경우에 비해 그
차이
가 약 400배에 가깝다. 만약 같은 번호를 허용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순서를 생각하는 경우는 그 안전성이 약 3배나 높은 것이다.우리는 보통 현관문 비밀번호로 6~8개의 숫자를 사용하므로 실제로는 10만 ... ...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기록되지 않는 반면, 우리나라는 그대로 나타나지. 따라서 자료에 따라 문화적
차이
를 함께 생각해야 한다는 거야.또 통계 자료로 인과관계를 함부로 추정하는 경우야. 인과관계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말해. 다음은 어느 동네에서 기록한 통계야. 모기가 적을수록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투표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중간에 바뀐 게 아닐까요?선생님 : 그렇다고 하기에는 결과의
차이
가 너무 커요. 문제는 표본조사에 있어요.소망 : 표본이요? 전화번호부와 자동차 등록 명단이 큰 문제가 되나요?선생님 : 만일 요즘이었다면 문제가 없었을 거예요. 하지만 선거는 1936년이었죠. 당시 전화와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기초 공사를 진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순수한 전통 기초공사 방식과는 조금
차이
가 있다. 이렇게 기초공사를 끝낸 후 1년 4개월 만인 2009년 7월 문루를 떠받치는 기초시설인 육축(陸築)을 시공했다.석조건축 위에 높이 13m의 목조 누각을 쌓아 올리는 일은 신응수 대목장이 지휘했다. 8t 트럭 96대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와도 평형 상태에 놓여 있다. 와도 평형 상태란, 바람이 해류에 공급하는 와도 변화, 위도
차이
에 의한 와도 변화, 대륙과 해류의 마찰에 의해 전달되는 와도 변화 합이 0이 되는 상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난이도 상] 서안 경계류와 동안 경계류 각각에 대해 바람이 ... ...
큰 소리의 대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듣는 자동차 경적소리가 110dB인 것과 비교하면 큰 소리임에 분명하다.이 때문에 20dB의
차이
는 100배나 큰 소리를 뜻한다. 낮시간 확성기의 소음이 80dB을 넘으면 벌금을 부과한다. 90dB이 넘는 소리를 8시간 넘게 들으면 귀의 기능에 이상이 올 수도 있다. 부부젤라를 단순한 응원도구로 여기기에는 ... ...
우리나라 학생의 뛰어난 등호 이해력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서로 같다’는 뜻의 수학기호인 등호에 대한 이해력
차이
에서 비롯한 것입니다. 지난 8월 미국 텍사스 에이앤엠대학교 연구원들이 이 사실을 밝혔습니다.그들은 등호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로 수학교육의 우수 여부를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연구를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호르몬 항상성의
차이
점, 그리고 단백질 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신호전달방식의
차이
점도 묻는다. 이 논제 역시 제시문에 나온 실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호르몬의 특성을 파악하면 풀 수 있다. 특히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과의 비교라는 창의적인 사고를 요하는 문제를 출제했다.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않다고 비난한다. 예를 들어 탐사 횟수가 많을 수록 생물종도 많아질 텐데, 이런
차이
를 고려했냐는 식이다. 그러면서 잘못된 조사는 오히려 잘못된 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해양학자들은 “정확한 분류는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해결되지 않는다”며 현재 수준에서라도 자료를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얼음과 맞닿아 있어도 환경에 따라 미세조류의 양과 종류에 큰
차이
가 있는 것 같다”며 “처음으로 북극해의 해빙 위에 직접 올라가 구멍을 뚫고 얼음과 생물을 채취했는데 생각과는 많이 달랐다”고 전했다. 다만 얼음 속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채집할 수 있었다. 김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