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작은 팔을 만들게 된다. 은하에 막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는 은하의 진화에 많은
차이
가 있다. 막대가 원반의 물질과 상호 작용하면서 원반의 물질을 재배치하기 때문이다. 막대보다 바깥에 있는 성간물질은 막대로부터 각운동량 을 얻어서 속도가 증가하므로 원반의 바깥으로 밀려나고, ... ...
F1머신은 왜 비행기 날개를 거꾸로 달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부분을 생략하지만 유독 날개는 일반 차에는 없고 F1 머신에만 있다. 차량마다 약간씩
차이
는 있지만 보통 4개의 날개를 부착한다. 날개는 위치와 모양에 따라 역할과 기능이 다르다. 앞바퀴의 전면에 붙은 ‘프론트 윙’과 바퀴 뒷면에 달려 있는 ‘리어 윙’은 차체를 바닥으로 누르는 ‘다운포스 ... ...
part 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적은 뒤 결과가 자신의 가설이나 예상 결과와 일치하는지,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떤
차이
가 있는지를 메모한다. 또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할 만한 문헌이나 실험 내용을 찾아 내용을 보강하면 결론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④실험 보고서 완성하기 실험 보고서를 쓸 때는 실험 과정에서 메모했던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구성하는 물질의 질량과 내부 기체의 질량을 합친 값을 전체 풍선의 부피로 나눈 밀도의
차이
에 따라 풍선은 떠오르기도 하고 가라앉기도 합니다. 예시답안 풍선은 풍선 내부에 들어가는 헬륨과 공기의 밀도 차에 부피를 곱한 값만큼의 질량을 들어 올릴 수 있는데, 풍선의 개수가 늘어나면 풍선을 ... ...
녹색 지구를 위해 우리가 할 일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와 비슷한 옛말이 있을 것입니다.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것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의
차이
는 기술에서 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이것은 합당한 분배율이라는 데 대해 여러분 모두가 동의할 것입니다. 현재 많은 원예 작물의 경우 품종과 개량에 관한 형식의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이와 ... ...
합성세포, 인공생명체 시대 열었나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식한 실험을 한 셈이다. 참고로 원핵생물인 박테리아는 핵이 없다.체세포핵이식과의
차이
는 박테리아의 게놈을 빼내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합성게놈을 집어넣었다는 점이다. 핵이 없다 보니 세포질에 퍼져 있는 염색체를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은 채 빼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 ...
세포 구조의 알파와 오메가, 지형류의 발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2) [난이도 중]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세포 내 구조물
차이
로 인한 전사와 번역과정의
차이
를 설명하시오. 3) [난이도 상] 진핵생물의 핵 내의 단백질은 어떻게 생성된 것일지 설명하시오. 전문가 클리닉 1) 원핵세포에 없는 진핵세포의 구조물들이 어떻게 다세포 생물의 복잡성을 만드는 데 도움이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주변에서처럼 이론에서 예측하는 왜소은하와 관측되는 왜소은하의 개수 사이에 커다란
차이
를 보이는 현상을 ‘행방불명된 왜소은하 문제’라 부른다. 이는 차가운 암흑물질의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서 설명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이다.그런데 왜소은하의 잔재인 구상성단을 고려하면 그 ... ...
PART Ⅱ 수학으로 월드컵을 예측한다 : 누가누가 이길까?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조각 8개를 붙여 더욱 구에 가까워졌다. 자불라니는 지름이 가장 큰 곳과 작은 곳의
차이
가 1%에 불과하다. 공이 둥글수록 날아가는 동안 균형을 유지해 목표 지점으로 정확히 날아간다.축구공은 앞으로도 더욱 둥글어질 것이다. 점점 구에 가까워지는 축구공이 얼마나 더 예측 불가능하고 박진감 ... ...
플랫랜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개수를 늘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각형의 변이 늘어날수록 원과 비슷해지면서 넓이
차이
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의 개수를 늘리면 늘릴수록 넓이도 원과 비슷해지는 것이지요. 변의 개수가 무한하다고 가정하면 다각형의 넓이로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