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는다. 퇴행단계는 약 3주간 지속되며 그 동안 모낭 전체가 두피
표면
을 향해 조금씩 상승한다. 탈모단계에 이르면 상승하던 모낭이 두피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머리카락이 자연적으로 빠진다. 약 3개월간 이 단계가 지속되며, 남아있는 머리카락은 머리를 감거나 빗질을 할 때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DBD)와 DBD 드라이브를 개발해 국제특허를 출원했다고 4월 21일 발표했다.이 장치는 DBD
표면
의 주입구에 혈액을 넣으면 드라이브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고 이 혈청이 DBD 속의 진단키트와 반응해 질병을 진단한다.유 교수는 “일반 CD처럼 DBD 드라이브를 켜면 40분 안에 검진이 ... ...
초소형 물질 붙이는 강력한 나노접착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고리형 탄소화합물로 온도를 250℃로 높이면 결합력이 강해진다. 연구팀은 다양한 물질의
표면
위에 이 접착제를 6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두께로 입힌 후 고분자 나노 구조를 수직으로 배열하는데 성공했다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김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 대신 ‘면’을 사용했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표면
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원자의 크기까지 고려한 것. 이 방법을 쓰면 겉으로 보기에 같은 평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단백질도 어떤 것은 편평하고 어떤 것은 울룩불룩하며, 심지어 8자 모양으로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통과하는 이온의 양이 변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뿐만 아니라 수용체가 신경세포막
표면
으로 이동하는 것도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절된다. 실제로 최근 ‘사이언스’에는 소리신호와 전기충격을 연결시키는 공포 기억 훈련을 받은 쥐의 뇌에서 수용체가 신경세포막으로 더 많이 올라간다는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돌로 된 우주선처럼 만들어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꾼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표면
에 얼음이 많은 소행성이나 얼음덩어리로 된 혜성에 특히 효과적이다. NASA와 관련 연구를 함께 해온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박상영 교수는 “소행성이나 혜성에 레이저를 쏘면 물질이 기화돼 가스로 ... ...
토성의 달 엔셀라두스에 대기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붙잡아둘 수 없다. 연구자들은 “이 대기층은 아마도 화산활동 또는 간헐천이나 아니면
표면
이나 내부에서 분출된 가스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결국 엔셀라두스의 대기층은 이런 활동으로 계속 보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현재 화산활동이 관측된 태양계의 위성은 목성의 ... ...
흑백 착시현상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분리해내다가 착시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물체를 비추는 빛의 양인 조명, 물체
표면
에서 반사하는 빛의 양 인 반사율, 물체와 우리 눈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물의 투명도 등이 이런 요소다. 연구팀은 매개물의 투명도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똑같은 원반이 희거나 검게 보이는 착시가 일어나도록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세균인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는 푸코스라는 당분자를 만들어 세포
표면
을 코팅한다. 연구자들은 세균의 게놈에서 이 당분자를 만드는 유전자를 제거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여전히 푸코스로 만든 코팅을 유지했다. 자신이 못 만들 경우 숙주의 내장세포에서 푸코스를 훔쳐와 ... ...
제13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큰곰자리 나선은하 M81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일반부문에 86점, 청소년부문에 38점이 출품됐다.130년 만에 벌어진 금성의 태양
표면
통과 현상, 혜성(맥홀츠)이 별무리(플레이아데스성단) 근처를 지나가는 보기 드문 현상을 찍은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심사위원장인 이명균 서울대 교수(천문학)는 “일반부문의 수상작은 모두 우열을 가리기 힘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