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525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내미생물은 약물도 '꿀꺽'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섭취량의 최대 5%에 불과한 게 문제다. 장내에도 있는 레보도파 분해 효소가 약물이
뇌
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 효소의 작용을 막는 약물인 카비도파를 개발해 레보도파의 전달률을 높였다. 하지만 도달률은 여전히 환자마다 차이가 크다는 게 문제였다. 레보도파의 부작용인 몸이 ... ...
AI·빅데이터 써서 신약개발 기간 절반으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해 퇴행성
뇌
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에 나서게 된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재단의 신약개발지원센터의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의 주요 제약사의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해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 ...
과학자 사기 진작한다더니…22년 전통의 과학자상 공표 안한 과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2017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았다. 오우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과학연구소장은 서울대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 교수재직 시절인 2009년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고 올해 호암상 의학 부문을 수상했다. 문재인 정부의 과학계 핵심 실세로 통하는 염한웅 ... ...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모델 쥐는 첫날 50초대 기록에서 5일 차에도 40초대를 기록했다. 민 교수는 “성체
뇌
에서 일어나는 해마 신경발생 과정을 조절하는 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며 “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 능력 결핍에 쓰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왜소한 기형적인 모습이다. 이는
뇌
가 처리하는 정보량을 보여주는 것으로 엄밀한
뇌
과학 연구의 결과다. 런던자연사박물관 제공 20여 년 동안 논문 1400편 넘게 나와 검지(두 번째 손가락) 길이(2D)와 약지(네 번째 손가락) 길이(4D)의 비율(2D/4D)이 많은 것을 얘기한다는 게 손가락 비율의 과학이다.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있다. 하지만 우리가 개발한 것은 크기가 작아 침대에 부착할 수 있다. 그래서 환자의
뇌
심부 신경핵에 정확하게 전극을 삽입하도록 세밀하게 안내할 뿐 아니라, 움직임이 작아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를 방해하지 않는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융합한 스마트 의료로봇도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 ...
AI 이용해 단기기억의 내부 작용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지속적인 활동이 없어도 단기기억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장기기억이 기억을
뇌
에 저장하는 방식과 비슷하다”며 “장기기억은 다량의 신경세포 간 복잡한 네트워크를 만들어내 기억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프리드먼 교수는 “단기기억의 침묵과정은 마치 펜으로 무언가를 영구적으로 써놓는 ... ...
“마약 중독 전문연구기관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회복을 위해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것, 마약류 중독을 치료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뇌
과학 연구에 투자할 것, 마약 관련 정책 방향을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를 보강하고 전담 연구 기관(K-NIDA)을 설립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마약류 중독 분야만을 전담하는 전문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로봇의 모형. 구형(왼쪽)과 나선형 두 가지가 있다. DGIST 제공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체내에서 약물 ... 등 연구를 진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홍수 DGIST 로봇과학과 교수와 유성운 DGIST
뇌
인지과학과 교수. 사진 이서연(과학동아 제공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반도체를 이용해 100만 개의 뉴런과 2억6000만 개의 시냅스(뉴런 접합부)로 얽힌 인간 두
뇌
를 모방했다.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사실 자가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