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읽어주는 언니]세 살 기억은 왜 여든까지 못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이후 절반의 쥐에게 특수 처리를 해 뉴런 재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했다. 어른 쥐의
뇌
로 ‘교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4주 후에 다시 상자를 보여주자, 뉴런 교체가 일어나지 않은 쥐들은 여전히 상자를 피했다. 조작하지 않은, 정상적으로 뉴런 교체가 일어난 쥐들은 과거를 잊고 다시 ... ...
스트레스 받자 기억력 떨어지고
뇌
가 쪼그라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5
연구원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중년은 비록 눈에는 증세가 보이지 않아도
뇌
수축과 기억력 감퇴를 보인다는 사실이 발견했”며 “충분한 잠을 자거나 운동을 하는 것처럼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사를 찾아가 코티솔 수치를 재보고, 만약 높다면 치료를 ... ...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개발했다”며 “앞으로 카테터 굵기를 좀더 가늘게 해 황반변성 등 눈의 이상이나
뇌
, 이비인후과 수술에 응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연구팀은 카테터 상용화를 위해 전기전자안정성 시험과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강 단장은 “내년 초에는 인허가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 ...
치매원인 '
뇌
염증' 치료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고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뇌
질환 분야 국제학술지 ‘신경염증저널’ 11월호에 발표될 예정이다 ... ...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감염 경로를 확인하는 등 연구성과가 쏟아져 나왔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같은
뇌
질환의 발병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던 것도 녹색형광단백질 덕분이었다. 이 같은 녹색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을 이끈 공로로 시모무라 교수는 2008년 마틴 챌피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로저 첸 미국 샌디에이고 ... ...
IT·NT·BT 성과기업과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경종민 KAIST 교수)은 ‘실시간 휴대용 고해상도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를 설명한다. 지능형바이오시스템설계및합성연구단 소개자료.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단장 김선창 KAIST 교수)의 ‘고기능 생리활성 물질 진세노사이드 대량생산 기술’과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단장 이학주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위한 단기 심장박동기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최초로 생분해성
뇌
압측정기를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던 강 교수는 “생분해성 전자소자 시장에서 한국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분자 수준에서 연구해 올해 처음 밝힌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기억 관련
뇌
과학의 선구자 중 한 명인 팀 블리스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교수, 유방암의 새로운 타깃을 연구 중인 정진하 서울대 생명과학부 명예교수 등이 강연을 했다. 피터 그루스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OIST)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
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교수는 “
뇌
의 패턴 변화에서 피부색의 패턴을 유추하는 기존 방법이나 피부 변화에서
뇌
의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 모두 중요하다”며 “이를 상호 보완하면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보다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몸은 죽고
뇌
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될까’라며 연구에 관심을 갖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런 문제로
뇌
신경 윤리를 마련할 때는 먼저 ‘정상인의 범주’를 명확히 해야만 그 기준을 벗어나는 상황에 대해서도 정의할 수 있다”면서 “이런 학계의 노력은 인공지능의 윤리적 운영법 등을 개발할 때도 중요한 기준이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