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발생할 수 있다”며 “촉각은 특히 의수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분야에서 오랫동
안
중요하게 연구된 이슈인데, 웨어러블 로봇도 같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신경이 끊어지지 않은 팔 부분에 진동이 발생하는 모터를 붙이고, 로봇 팔에 달린 압력센서로 물컵을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무려 22=4배가 되지요. 아앗…! 어느새 마지막 수학동아 TV 방송이 끝났습니다. 1년 동
안
사랑해 준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 인사드립니다. 비록 BJ맹추는 떠나가지만 아무쪼록 수학 개념을 재밌게 배우길 바라면서 저는 진짜로 떠납니다. 뿅!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조언 공학자는 나라 먹여 살리는 직업 김 학부장은 처음에는 국가와 국민의
안
전을 위해 무기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고 화학생물공학부에 진학했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서 사람을 해치는 무기를 만들기보다는 세계 인류를 이롭게 하는 무언가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다. 김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항등식을 보여준 적이 있어요. 전 그 항등식을 일반화할 수 있냐고 물었고 재기어는
안
될 거라고 했죠. 그런데도 전 그 문제에 꽂혀버렸어요. 그래서 박사 후 연구원과 함께 이 항등식에 매달렸어요. 이제 풀었다 싶으면 틀리고, 드디어 생각해냈다 싶으면 틀리기를 5년, 우린 드디어 답을 찾았죠 ... ...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뉴스를 보고 불면증이 생기고 말았어. 혹시 내 침대에서도 라돈이 나오는 건 아닐까? 불
안
해서 잠을 못 자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이불 밖은 위험해? 라돈 침대도 위험해!Part 1. 침대에 발암 물질 라돈이 있다?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Part 3. 다른 음이온 제품은 어떨까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무생물의 중간에 있다는 점이에요. 바이러스는 막대나 공 모양의 매우 작은 단백질 막
안
에 유전자가 담겨 있는 구조예요. 원시적인 생명체와 닮았지만, 혼자서는 자라지 못하고 다른 생명체에 들어가야만 증식할 수 있죠. 몸속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는 우리 몸의 세포에 자신들의 유전자를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학회 발표 논문의 제출 과정도 까다로운 심사 과정 대신 참가비를 내면 짧게는 수 분
안
에 허가를 내주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와셋(WASET)’이 대표적인 부실학회로 꼽힌다. 과학계는 이런 부실학회가 셀 수 없이 많지만 학회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국제 공인 기준이 없어 과학자들이 유혹에 ... ...
혈중알코올농도에 대한 과학적 쟁점 4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연구팀은 건강한 한국 성인 남성 24명을 대상으로 35mg의 알코올을 투여한 뒤, 10시간 동
안
날숨을 측정해 혈중알코올농도 그래프를 그렸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데이터로 수학적 관계식을 세워 새로운 측정 대상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한 전문의는 “한국인의 경우 새로운 모형이 ... ...
Part 2.깃털의 원조는 공룡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날개 끝이 아닌 앞발목 부위의 깃털이 가장 길다. 어정쩡한 모양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안
키오르니스가 비행이 아닌 활공만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정한 비행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깃털과 마찬가지로 비행 능력 또한 새가 아닌 작은 공룡일 때부터 가능했다. 비행이 가능했던 공룡 중에서 가장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아이디어다.doi:10.1126/science.aav8136 서선희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그동
안
순수 학문으로만 여겨진 중성미자 연구를 핵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며 “만약 실현된다면 북한 과학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연구 형태가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