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배아줄기세포가 환자의 체세포로 만들어져 면역 거부 반응이 없다고 하더라도 일부
유전
자가 말썽을 일으키지 않는지, 체내에 이식된 줄기세포가 환자와 같은 질병을 일으키지는 않는지 점검하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합니다.또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동물성 시약 때문에 실제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교수는 “인간과 침팬지가 500만~700만년전에 서로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뒤 이
유전
자의 변화가 사람에게 진화의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이 연구는 ‘생물학 공중도서관’(PloS Biology) 12월호에 발표됐다 ... ...
말라리아 막는 모기
유전
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는 이유가 드러났다.암컷 모기는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빨 때 말라리아 원충에 ...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에서 이
유전
자의 능력을 높이는 화학 살포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myc’ 등 특정
유전
자의 발현에 필수적이다. 여러 과학자들이 생물정보학을 이용해 Z-DNA가
유전
자의 발현 조절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연구하고 있다. 특히 Z-DNA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는데 중요하다. 천연두 바이러스에는 Z-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이 있다. 천연두 바이러스가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신발지식공학과 박해수 교수는 “세계적으로 이집트형 발이 가장 많다”며 “이는
유전
적 원인 때문이며 그만큼 엄지발가락이 신체에서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엄지발가락이 유난히 짧은 모턴 증후군 환자는 걷기가 힘들다.반면 엄지발가락의 근육을 잘 발달시키면 추진력이 강해진다.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 Education) 지도교수와 함께 연구 논문을 쓴다. 생물학만 해도 생물학실험, 분자생물학,
유전
자의 이해, 생리학, 세포생물학, 생화학 등 대학 전공 수준의 과목이 11개나 된다.학점제로 운영되는 교과과정도 색다르다. 170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할 수 있고 마지막 학기엔 졸업 논문을 쓴다. 한 반은 대개 6~ ... ...
암컷을 유혹하는 수컷쥐의 눈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인간의 눈물 속에는 쥐처럼 페로몬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눈물에 페로몬을 만들어 넣는
유전
자가 사람에게 없기 때문이다.도우하라 박사는 “이번 연구가 사람이 왜 눈물을 흘리는지에 대한 오래 된 미스터리를 푸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채유법(採油法)의 하나
유전
또는 인근의 가스전(田)에서 분출되는 고압(高壓) 가스를
유전
의 중앙부에 있는 갱정(坑井)에서 압입(壓入)하여 유층(油層) 내의 유체 압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유압층(油壓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가스속(屬)에서 천연 가스를 채취할 때 지표에서 응축분리(凝縮分離 ... ...
해충 막는
유전
자 변형 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해충을 퇴치하는
유전
자 변형 식물이 개발됐다.네덜란드 바게닝겐대의 아이리스 카퍼스 교수팀은 밀을 먹어치우는 진드기의 천적을 유인해 진드기를 막 ... 항아리 위에 놓았다. 그 결과 보통의 애기장대에는 197마리의 진드기 천적이 모였지만
유전
자 변형 애기장대에는 388마리의 천적이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6년만인 2002년에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했다. 현재 33마리의 황새가 사육 중에 있으며
유전
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매년 새로운 개체를 시베리아에서 사오고 있다. 2012년 한국도 야생 방사 계획황새복원연구센터는 앞으로 7년 뒤인 2012년 시험방사를 목표로 황새가 서식하기 적합한 장소를 선정해 방사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