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파서 못 움직이면 사자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에 결국 병에 잘 걸리지 않는 제일 튼튼한
유전
자를 가진 놈이 살아남아서 새끼를 낳고, 개체수를 유지하죠. 그렇게 공원의 먹이사슬이 유지된다는군요.”조용한 은하는 없다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 김동우 박사가 먹이사슬 얘기부터 꺼냈다. 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배열돼있는
유전
자가 감수분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
유전
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두 균주의
유전
체가 해독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경상대 의대 연구진을 포함한 인간
유전
체기능연구사업단이 헬리코박터 두 균주의 DNA 염기쌍을 완전 해독해 한 단계 높은 연구가 가능하게 됐다. 지금도 헬리코박터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6년만인 2002년에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했다. 현재 33마리의 황새가 사육 중에 있으며
유전
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매년 새로운 개체를 시베리아에서 사오고 있다. 2012년 한국도 야생 방사 계획황새복원연구센터는 앞으로 7년 뒤인 2012년 시험방사를 목표로 황새가 서식하기 적합한 장소를 선정해 방사 ... ...
해충 막는
유전
자 변형 식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해충을 퇴치하는
유전
자 변형 식물이 개발됐다.네덜란드 바게닝겐대의 아이리스 카퍼스 교수팀은 밀을 먹어치우는 진드기의 천적을 유인해 진드기를 막 ... 항아리 위에 놓았다. 그 결과 보통의 애기장대에는 197마리의 진드기 천적이 모였지만
유전
자 변형 애기장대에는 388마리의 천적이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채유법(採油法)의 하나
유전
또는 인근의 가스전(田)에서 분출되는 고압(高壓) 가스를
유전
의 중앙부에 있는 갱정(坑井)에서 압입(壓入)하여 유층(油層) 내의 유체 압력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유압층(油壓層)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가스속(屬)에서 천연 가스를 채취할 때 지표에서 응축분리(凝縮分離 ... ...
하룻밤에 읽는 줄기세포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강조한다. 선천성
유전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세포를 떼어내 복제한 줄기세포 역시
유전
자 결함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병을 치료할 수 없다. 즉 복제 배아줄기세포는 후천성 난치병에 시달리는 환자들에게만 유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이 책은 다양한 의문을 곧바로 해결할 수 있도록 ‘Q&A’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유전
체와 연관된 개념으로 물질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는 물리상수가
유전
상수다
유전
상수의 크고 작음은 전하 보유 용량의 대소를 나타낸다 프로가 아닌 이상 필름을 어느 정도 빛에 노출시켜야 좋을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그래서 필름을 만들 때 사용자가 노출을 잘못한 경우를 대비해 노출의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
공학의 발전으로 동일한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관심의 대상이 됐고 실제로 개구리복제가 성공한 적이 있다고릴라는 등에 회식털이 나 있는(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지난 9월 생명과학계의 시선은 일제히 한 곳으로 쏠렸다. 주목의 대상은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침팬지. 과학전문지인 ‘네이처’와 ‘ ... 한다.그러나 그는 “염기서열을 아주 정확하게 분석하지 않고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
자가 1% 정도 다르다’고 결론짓는 것은 무리”라고 설명했다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