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0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전·경남·전남 삼각별 프로젝트 가동…"우주기업 1000개 육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우주산업 클러스터 출범식'에서 출범 퍼포먼스에 참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모델로 한 우주항공청이 5월 출범을 앞둔 가운데 정부가 대전과 경남, 전남을 세 축으로 2045년까지 우주산업 규모를 100조원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 경남 ... ...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의한 강제력으로 태평양 제트기류가 변화하고
미국
서부에 고기압이 강화되고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진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가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1951~2020년 기후자료와 온실가스 및 에어로졸 강제력에 의한 기후모델 모의결과를 종합해 인간이 유발한 ... ...
우울증 유발 심혈관질환 위험, 여성이 더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가네코 히데히로 일본 도쿄대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미국
심장학회지(JACC)에 발표했다. 앞서 우울증은 심근경색(MI), 협심증,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 위험은 여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성별에 따른 차이의 ... ...
'수컷이 암컷보다 항상 크다'는 믿음은 오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제공 수컷의 몸집이 대체로 암컷보다 더 크다는 생각은 오해일 수 있다.
미국
뉴욕시립대 헌터칼리지 및 프린스턴대 연구팀은 포유류는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실제로는 대부분 포유류가 암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스페이스X 캡슐 타고 돌아온 우주인 4명 '임무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우주정거장에서 식량을 재배하는 실험 등 수백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앞바다에 착수한 스페이스X의 드래건 우주선. NASA 제공 빌 넬슨 NASA 국장은 이번 임무에 대해 "승무원들은 우주가 우리 모두를 하나로 묶는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우리는 함께 일할 때 더 많은 ... ...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같은 곤충과 공생하며 효과적으로 번식하는 전략으로 지구에 번성할 수 있었다. 2006년
미국
코넬대 연구팀은 개미의 진화 계통을 바탕으로 현대 개미의 출현이 속씨식물의 출현 시기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당시 개미의 종 다양성과는 뚜렷한 연결고리를 찾지는 못했다. 특히 '줄기 ... ...
고형암 세포치료제
미국
서 첫 치료 개시…CAR-T 치료제 한계 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투여받은 참가자 중 20%가 완전 관해에 도달했다. 임상시험을 이끈 아모드 사나익
미국
모피트암센터 전문의는 "고형암 치료에서 화학요법을 받다가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충분히 효과를 보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다"고 설명했다. 암타그비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TIL이 색소 세포를 ... ...
"15년 이상 금연하면 암 발생 위험 절반으로 줄어든다"
연합뉴스
l
2024.03.12
사람이 흡연을 지속한 사람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의사협회 자매지 'JMA 네트워크 오픈'에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297만4천820명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를 통해 금연과 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2002~2003년 이후 2년마다 ... ...
포유류 추위 감지 단백질 발견…"추위 통증 이해·치료 기대"
연합뉴스
l
2024.03.12
규명하고 추위에 과도한 통증을 느끼는 환자의 치료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미시간대 생명과학연구소 숀 쉬 교수팀은 12일 과학 저널 네이처 신경과학(Nature Neuroscience)에서 예쁜꼬마선충(C. elegans)과 생쥐 실험을 통해 포유류에서 추위를 감지하는 '글루타메이트 이온성 수용체 ... ...
70여년만에 온 '악마 혜성' 이달 육안으로 볼 수 있다
2024.03.12
프랑스 천문학자 장 루이 폰스와 그 다음으로 혜성이 돌아온 1883년에 이를 관측한 영국계
미국
인 천문학자 윌리엄 로버트 브룩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지름이 약 30km에 달하는 핵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혜성은 가열되면서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먼지, 가스, 얼음이 함께 분출된다.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