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뒤돌아서서 후회하는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멋들어지고 요점을 찌르는 응수도 더러 있었다”라고 적고 있다. 세계적인 문학가도
결정
적인 순간에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후회할 수 있다는 사실이 참 재밌다. 목욕 하다 “유레카”를 외치다존 스타인벡과 같은 경험은 누구나 한 번쯤 겪는 매우 흔한 일이다. 우리는 언제나 중요한 순간이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 멘델유전학에서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
하는 요소지만 전사과정에서는 전사되는 mRNA의 주형 DNA와 상보적인(비주형 가닥) DNA가닥의 염기서열을 의미한다.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복잡한 생명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논리적인 확장 ... ...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진 녹색 레이저가 나왔다. 연구진은 논문 초록에서 “지금껏 레이저는 불순물 첨가
결정
체, 반도체, 합성염료와 순정 기체 같이 인간이 만든 광학 이득매질을 이용해서만 만들었다”라며 “살아 있는 세포를 이용해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GFP는 인체의 단백질의 ... ...
숨 잘 쉬는 물고기가 무리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 결과 물고기 떼에서 물고기의 위치는 최대신진대사율과 산소호흡능력에 따라
결정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물고기떼의 뒤쪽에 있는 물고기는 산소호흡능력이 떨어지는 반면 앞쪽에 있는 물고기는 산소호흡능력이 좋았다.킬렌 교수는 “물고기는 먹이를 얻거나 포식자를 피하는 데 유리하기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중에 녹는다. 연구팀은 빙산의 온도분포를 분석해 가장 적게 녹는 이동시기와 경로를
결정
했다. ◀ 3D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최적 경로. 북극에 있는 그린란드 섬에서 아프리카 서쪽 카나리아 해역까지 이동하는 데 약 141일이 걸린다.][➊ ➋ ➌ ➍ 연구진은 빙산이 녹지 않도록 주변에 차단막을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과학적인 증거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며 반박했다.IARC가 많은 논란 속에서도 이번
결정
을 내린 것에 대해 김덕원 연세대 의대 교수는 “이미 세계적으로 50억 명이 넘게 사용하는 휴대전화가 뇌종양을 발생시킨다고 확실히 판명될 경우 파급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미리 주의를 환기시키는 차원일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영국 카디프대 의대의 앤드류 핀레이 교수는 “피부질환은 특히 인생에서 중요한
결정
을 내릴 때 악영향을 준다”고 발표했다. 핀레이 교수가 만성 피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피부질환 때문에 경력을 선택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고 선택한 환자가 66%(중복답변)나 ... ...
실험실 밖 세상의 화학 탐구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한다면 결과를 되도록 정량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는 yes/no로
결정
되는 정성적인 결과를 이용해보는 것도 좋다. 특히 비교군이나 대조군을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가설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 봉착했다. 실험 결과 상록수와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맞붙는 시스템으로 진행됐다.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열심히 싸워 1·2위
결정
전까지 올라간 우리나라 선수들은 ‘패자부활전’ 시스템 때문에 5번이나 한·일전을 치렀다. 결국 일본에 우승컵을 내주게 돼 지금까지도 아쉬움이 남아 있다. 새로운 경기 운영 시스템으로 열릴 예정인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박사팀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토네이도’를 만들었다. ‘이글루’라고 이름 붙인 나노
결정
지붕(지름 2mm) 아래에서 마이크로토네이도를 발생시켰다.이글루의 아래 공간에는 습기가 많고 위는 온도가 낮아 실제 슈퍼셀과 환경이 비슷하다. 연구팀은 “마이크로토네이도가 크기에 비해 아주 격렬해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