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표본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으며 실제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
채
인체 표본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플래스티네이션 과정은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과정, 이렇게 크게 두단계로 나눌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본을 만들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오늘날 완벽하게 공룡을 복원해놓고 있다.사실 공룡에 대한 연구 역사는 2백년이
채
되지 않았다. 1841년 영국의 박물학자 리차드 오언이 공룡이란 이름을 붙인지 이제 겨우 1백60여년이 됐을 뿐이다. 하지만 공룡에 대한 관심은 수많은 공룡학자들을 낳았다. 공룡에 관한 책을 검색해보면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아기별이 태어나고 자라는 요람 역할을 한다. 이제 갓 태어난 아기별이 강보에 쌓인
채
세상 빛을 보려고 작은 눈을 살짝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파란 샘은 어떻게 생겼을까말머리성운 주위는 왜 붉은빛을 띠고 있을까. 물론 메두사가 흘린 붉은 피 때문은 아니겠지만. 단서는 사진에 나타나지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K스타 건물 내부는 약 2만8천m2인데 이는 일반 40평형 아파트 2백여
채
에 해당한다. 이 많은 방안에 가득 설치된 장치들을 서로 연결해 제대로 작동시키려면 초고속 네트워크가 필수다. 이를 통해 필요한 명령이나 정보 그리고 자료를 주고받으면서 계획된 실험을 실시할 수 있다.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지켜보며 그를 도울 수 있는 유일한 일을 행한다. 그것은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잃어버린
채
숨쉬는 고깃덩어리로 전락한 친구에게 인간다운 죽음을 선사한 것. 그리고 그는 병원을 탈출한다. | 처음 만나는 자유 (Girl, interrupted, 1999) |제임스 맨골드 감독, 위노나 라이더, 안젤리나 졸리, 우피 ... ...
Ⅲ 사람이 주인 되는 인터페이스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한다. 그리고 역시 놀라운 관성에 지배된
채
변하지 않는다.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ENIAC)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의자에 앉지도 못하고 서서 또는 쭈그리고 전선을 바꿔 이어야 했다. 그 뒤를 이은 거대한 쇳덩이 컴퓨터들은 이유를 알 수 없게 배열된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플라스마를 가열할까. 이를 위해서 플라스마를 자기장이 걸린 진공 용기 속에 가둔
채
여러 가지 가열 기술을 이용해 온도를 높인다.토카막에서는 저항 가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까지 알려진 플라스마 가열 기술 중 가장 효율이 뛰어나다. 토카막에는 도넛 안쪽에 솔레노이드 코일 ... ...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무균처리 선구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싸움을 해야만 했다. 결국 수적으로 밀린 젬멜바이스는 자신의 주장을 널리 펴지 못한
채
피폐해진 성격으로 인해 정신병동에 감금됐다가 1865년에 자신이 해결하고자 했던 세균감염에 의한 패혈증으로 세상을 떠났다.젬멜바이스보다 먼저 무균법의 중요성을 깨달은 사람들도 있었다. 영국의 고든과 ... ...
하늘 창문으로 바라본 늦가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물줄기는 포말하우트에 이르러 남쪽물고기자리와 만난다. 마치 남쪽물고기가 입을 벌린
채
물을 다 받아 마시고 있는 것 같다.물병의 오른쪽 아래에서 염소자리가 기다린다. 알파(α)별 알게디는 짝별이다. 쌍안경으로 잘 볼 수 있지만 눈이 아주 좋은 사람이라면 두 별로 구분할 수 있다. 알게디가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있던 유물을 깨워 ‘억지로’ 지상의 환경 조건을 맞이하라고 강요하는 것은 발가벗긴
채
낯선 곳에 서있으라 하는 것과 같은 일이다. 어쩌면 지상보다는 땅 속의 ‘대접’이 훨씬 더 나을지도 모를 일이다. 결국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으려면 뭔가 특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X선 동원해 ... ...
이전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