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잘 알아보면서 A만 못 알아볼까? 낯선 사람들을 한꺼번에 만난 경우에는 어떨까. 새로운 얼굴에 대한 인식 세포가 생성되기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일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논문 수와 피인용횟수를 모두 고려한 H-지수의 경우 연구자의 전체 논문 중에서 특정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이 최소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질적 성과지표의 활용도 향상 연구에 참여한 김민우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경영관리팀장은 “고피인용도 논문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고위험군조차 HIV 검사를 기피하고, 그 결과 면역결핍이 많이 진행된 후에야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얘기다. 조기진단과 조기치료는 환자 개인에게 이득일 뿐만 아니라 성접촉을 통한 HIV 감염 전파를 예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미국 CDC는 13~64세의 모든 사람은 HIV 검사를 적어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섬모의 운동을 책임지는 단백질 중 하나인 ‘디네인(dynein)’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섬모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배아는 무작위로 좌우 축을 결정합니다. 동전을 던졌을 때 앞 또는 뒤가 나올 확률이 반반이듯, 이 돌연변이가 좌우를 우연히 잘 맞춰 정상적으로 발달할 확률과, 좌우가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했다.그 결과 누가 착한 일을 했는지 이웃이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에어컨 공익사업에 주민들이 신청하는 빈도가 거의 3배 더 높았다. 뿐만 아니라, 관찰가능성이 협력을 끌어내는 힘은 이웃들과 만날 일이 별로 없는 단기 세입자들보다 이웃들과 만날 일이 많이 남은 자가주택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목소리가 들린다고 합니다. 득음을 시험해 보느라 폭포수 앞에서 소리를 질러보는 경우는 있다는 것이지요. 문승재 아주대학교 교수의 연구를 보면 폭포수 앞에서 득음을 시험하는 게 전혀 생뚱맞은 일은 아닙니다. 보통 사람 목소리와 판소리 소리꾼 목소리를 분석했는데, 확연한 차이가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앞에 놓인 장애물을 감지하고, 음파 센서로는 사각지대가 없도록 360도 살핀다. 또 최악의 경우 사람이나 물체와 부딪혔을 때 범퍼 센서가 작동해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에서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 중인 이상덕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능력에 의해 스스로 발목이 잡히는 꼴이다. 가령 A의 얼굴을 반복적으로 B라고 인식할 경우 A의 사진을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이것이 A라고 학습을 시키는 수밖에 없다. 결국 오류를 고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 이 오류가 완벽하게 해결됐는지 확인할 방법도 없다. 얼굴 인식 AI가 사생활을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록해 줄 수 있대. 물론 우리 눈에는 보이지만 카메라에는 어둡게 찍혀서 무용지물인 경우도 많긴 하지만 말이야. 이번에는 우리가 주로 어디에서 무엇을 사냥하는지가 궁금했나 봐. 우리는 다양한 생물들을 촬영해줬어. 크릴은 보통 먼 바다와 해저 양쪽에서 모두 살지만 멍게와 친척뻘인 살프는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너지의 루트 값에 반비례한다. 하지만 핵분열을 통해 새롭게 발생하는 중성자의 경우 에너지가 매우 크다. 이 때문에 이들이 연이어 핵분열 반응을 일으킬 확률은 매우 낮다. 즉,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새로 생성되는 중성자들의 ‘힘’을 빼놓아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