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 은하로 가려면 광속으로 2백만년이 걸린다. 그 사이는 광활한 암흑의 공간이다. 이런 암흑공간에서 과학자는 현대과학의 수수께끼를 발견한다.어릴 적 밖에 나와 밤하늘 아래 누워있으면 별이 참 많이 보였다. 이때 많은 별들이 각자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올해는 진공청소기가 발명된지 1백년째 되는 해다. 1901년 영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진공청소기는 당시 집안 일에 힘들어하던 여성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가정에서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내몰았다. 지금은 어떨까.진공청소기를 처음 만든 사람은 영국의 발명가 세실 부쓰다. 그때만 해도 기원전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재 리소그래피 기술은 반도체 표면에 1백nm 두께의 회로를 그릴 수 있는 정도다. 여기에 쓰이는 기술은 사진기술. 그러나 더이상 가늘어지기 어렵다. 새로운 리소그래피 기술이 필요한 시기다. 바로 SPM이다.현대 과학기술분야에서 리소그래피(lithography)란, 반도체나 다른 고체의 표면을 처리해 아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미모사는 건드리면 잎을 오므리고, 대나무는 죽기 직전 꽃을 피운다. 해바라기는 해가 없는 밤을 어떻게 알았는지 서쪽으로 향한 얼굴을 동쪽으로 돌린다. 식물이 엮어내는 신비로운 행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과연 식물도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어른들 말씀 중 ‘범띠나 용띠는 집에서 짐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살인이나 폭력 같은 끔찍한 범죄가 종종 뚜렷한 이유 없이 저질러져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다. 왜 이런 범죄가 발생하는 것일까. 생물학적인 원인이 존재하는 것일까.지난 9월 11일 미국 뉴욕에서 대규모 유혈 테러 사건이 벌어졌다. 세계 무역센터 빌딩이 붕괴되고 미 국방성 건물 펜타곤이 공격을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최근 TV 이동통신광고의 화두는 단연‘컬러’다. 한 업체는 자사 휴대폰광고에서‘12줄 컬러창’이라는 아이템으로, 그리고 또다른 업체는‘컬러를 쏜다’는 주제로 시청자의 흥미를 자극했다. 변화가 없으면 외면당하는 법. 이번에는 또 어떤 성능을 갖춘 휴대폰이 탄생하려는 것일까.초창기 이동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동아 사이언스와 동아일보 문화센터가 주최하는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SK의 후원으로 4년만에 재개됐다. 과학동아는 지난 7월30일부터 8월3일까지 4박5일 동안 16명의 과학교사와 함께강원도 민통선지역을 탐사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계의 보고로남아있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대칭성은 고대부터 미(美)의 대명사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과학에서도 대칭은 중요한 요소로 여겨왔다. 하지만 최근 대칭성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빅뱅 이후 물질과 반물질 중 물질만이 남아있는 문제에서 더욱 대칭성이 깨지고 있다. 반물질 연구에 왜 대칭성이 중요한 것일까.대칭은 완벽함의 대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휴대폰의 전자파는 인체에 유해할까. 안타깝지만 아직은 그 답을 정확히 모른다.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도 없다. 세계는 지금 휴대폰 전자파에 대해 방어자세를 취하기 시작했다.'휴대폰 제조업체들, 집단소송 걸려(4월 22일)담배업계를 상대로 집단소송에서 승리해 유명해진 피터 안젤로스 변호사 ... ...
현대의학에 동원되는 극약 성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뱀이나 전갈 같은 동물이나 곤충의 침에 포함된 독소는 인체에 치명적으로작용한다. 최근 이러한 독소 중 하나인‘보툴리늄 톡신’이 얼굴의 주름살을제거하는데 사용된다고 전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끌고 있는데….보통 사람들은 식물, 동물, 곤충 또는 박테리아 등에서 유래된 독소(toxin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