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어
나랏말
한국말
국어과
국어과목
우리말
한국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말
"(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능력 어떻게 키울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점점 정보생산 속도가 증가한다는 말이 있다. 정보사회에서 사람들은 이전보다 더 혼란스럽다. 따라서 문제해결과정에서 정보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자신의 정보활용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해볼 기회가 없을까.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에서 미래를 이끌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국내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대전시민천문대가 지난 5월 3일 드디어 문을 열었다. 홍보도 제대로 안된 어린이날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국에서 몰려들어 우리 국민도 이제 우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줬다. 국내 최대 10인치 굴절망원경을 들여다보고 환호하는 어린이 ... ...
고등학생이 개발한 수화번역장갑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세계 40여개 국가의 미래 과학도 1천2백명이 5월 8일 미국 IT업계의 심장인 실리콘밸리에 모여들었다. 지난 1년여에 걸쳐 이뤄진 연구 성과를 두고 서로의 기량을 겨루기 위해서다. 직접 그 뜨거운 경쟁의 현장을 찾아갔다.세상에는 선천적으로 또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말을 못하는 사람이 많다.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최근에 2002학년도 각 대학별 수시모집 일정이 발표됐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 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출제됐던 디지털과 아날로그, 오해하기 쉬운 에너지 보존, 그리고 출제가 예상되는 과학적 창의성, 피드백과 항상성에 대해 다뤘다.① 디지털과 아날로그KEY :요즘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 적지 않겠지만, 사실 수학은 고등학생이 가장 꺼리는 과목 중 하나다. 대학을 가기 위해 미적분학처럼 어려운 공부를 억지로 해야 하는 우리나라 형편상 어쩌면 당연한 얘기다.그런데 여기 전혀 색다른 수학분야가 있다. 복잡한 숫자를 다루지 않는 수학. 바로‘매듭’을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대기업 연구소를 인수해 알찬 바이오벤처들의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든 기업이 있다.이곳에서 벤처들은 마치 형집, 아우집 드나들 듯 함께 모여 연구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다. 형제들에게 방을 다 내주고도 집주인이 누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하는(주)인바이오넷의 비전을 알아본다.‘스머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올해 1학기 수시모집이 곧 시작된다. 대부분의 대학이 5월 중순부터 원서접수를 시작하며 6월중에 구술∙면접고사를 치른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종종 출제됐던 수학과 과학의 관계, 수질오염과 무중력 상태, 그리고 출제가 예상되는 상관관계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멀고 먼 우주에는 생명체가 있을까. 그리고 인간은 그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꾸며낼 수 있을까. 영화‘레드 플래닛’은 우주, 그 중에서도 화성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과 동경을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4월 14일 오전 11시에 시작한 방담회에는 매스컴에 잘 알려진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의 조경철 ... ...
① 고효율·무공해 두마리 토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근 들어 미래의 에너지문제와 공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연료전지가 손꼽히고 있다. 실제로 요즘 매스컴에 자주 등장하는 연료전지자동차는 미래의 무공해자동차로 주목받는 제품이다. 충전 없이 장시간 수명을 유지하는 휴대폰용 연료전지 배터리도 마찬가지. 과연 연료전지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근 창의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환경오염이나 에너지위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창의적인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창의성이란 도대체 뭘까.인류는 새로운 것을 찾아내 이를 활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런 측면에서 인류의 역사는 곧 창의성의 역사다.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