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섹션 ‘과학/과학철학(11~21강)’에서는 시대를 바꾼 과학의 패러다임을 알아보고, 그 현재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와 장병탁 서울대 교수, 신국조 UNIST 석좌교수, 이필진 고등과학원 교수, 엄정식 서강대 명예교수 등이 과학의 패러다임에 관한 화두를 던질 예정이다 ... ...
- [Career] 미래자동차, ‘터보 캔’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안성맞춤이다.배경은 이렇다. CAN은 보쉬라는 독일의 회사가 1984년 개발한 통신 기술로, 현재 차량용 전자장치의 약 70%가 CAN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개발 당시에는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1Mbps라는 전송 속도로도 충분했다. A4용지 한 장에 한글로 700자를 쓸 수 있다고 가정하면 9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않은 사실이 문제가 됐다.백신의 개발과 생산이 제약회사에 크게 이익이 되지 않으며, 현재까지 백신 개발은 정부, 대학 및 비영리 단체의 연구 기금에 의존해 왔던 게 사실이다. 또한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증명된 백신의 강력한 효과를 고려하면 백신 접종으로 천연두처럼 질병 자체가 사라지면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및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신은 옳다!Part 1. 백신을 못 믿는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사이의 간극을 최대한 줄이지요. 저는 산업 문제를 풀 때 항상 점근 이론을 이용합니다.현재는 어떤 활동을 하고 있나요?산업수학 전문 컨설팅 회사인 스미스연구소 수석 수학자로서 정부와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해 주고 있어요. 예를 들면 지진파를 이용해 석유가 매장된 곳을 효율적으로 찾는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만 극복하면 소형 위성에 적합한 추력기”라고 말했다.최 교수팀은 현재 이온이 배출되는 추력기의 헤드가 동전 크기만 한 초소형 홀 효과 추력기를 개발 중이다. 이미 헤드 부분이 어른 주먹만 한 소형 추력기를 만들어서 한국의 과학기술위성3호에 탑재하고 성공적으로 운영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천해경서 탐지반도 사고 부두로 나가 잔류 화학물질을 검출했다. “모니터링 결과, 현재 5ppm 이하로 나타납니다.” 자일렌의 농도를 40분의 1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훈련 시작 한 시간 만인 오후 3시, 합동지휘소에서 방송이 흘러 나왔다. “방제조치가 신속하고 적정하게 이뤄졌습니다. 금일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부회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성회복’ 등 인성교육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100만 분의 1g) 이상이었지만, 2세대 피임약부터는 35μg 이하로 양을 줄여가며 현재 4세대 피임약까지 개발돼 있다. 그러나 피임약이 호르몬제인 이상,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결국 비호르몬제를 개발해야 한다. 김진영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교수는 “여성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난자를 한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수 있으며, 어떤 질병이 유행할 때 어떤 방식보다 가장 빠르게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하는 방식이며, 세포배양이나 유전자 재조합으로 항원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더읽을거리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