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국립보건원(NIH)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및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신은 옳다!Part 1. 백신을 못 믿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KAIST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완벽하진 않아요. 비상시에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지요. 현재 개발된 무인자율주행 자동차의 수준은 레벨 3 정도랍니다.레벨 4는 완전자율주행차예요. 목적지만 입력하면 운전자는 눈을 감아도 되지요. 레벨 4에 이르려면 최소 5년 이상은 걸릴 거예요.”차의 지붕과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아니라, 물을 끌어오는 시설이 열악해요.이렇게 물이 부족해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은 현재 전 세계에 12억 명이에요. UN은 2015년 펴낸 ‘세계 물 개발 보고서’에서 2025년에는 세계 인구 중 18억 명이 ‘절대적인 물 부족’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어요.또 전세계 인구 중 2/3는 ‘물 스트레스’를 받을 ... ...
- Part 5. 한 눈으로 보는 미래 전쟁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다. 군사 전략가가 위성 요격 병기와 우주 배치 병기를 구상하기 시작한지도 오래다. 현재 위성 요격 병기, 지상 발사 레이저 등이 개발되고 있다. 기계전 군용 로봇도 개발하고 있다. 로봇 항공기인 무인기부터 생물의 특징을 모아 만든 하이브리드형도 있다. 로봇은 사람이 들어가기 힘든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안팎에 6개의 배터리를 써서 최고 시속 300km의 속도로 300km 이상 날아갈 수 있다. 릴리움은 현재 항공택시에 이용할 5인승 플라잉 카를 개발 중이다. 항공택시가 상용화되면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자동차로 55분 걸리는 존에프케네디국제공항까지 5분이면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도 택시요금보다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저항성이 있는 돌연변이, 자가면역 등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발달 등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LP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고, 표현형을 만드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개발해 1000개의 돌연변이 표현형에 대한 원인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부에서 유전학, 발생학 등을 가르치며 새로운 대학 과학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박사 학위를 받은 뒤 NASA를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한국 드론산업 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인성본성회복’ 등 KAIST에서 인성교육 강좌를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00만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성능(분해능)을 갖추고 있었다.문 교수는 “현재는 조직을 열로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빨아들여 질량분석을 하고 있다”며 “이 방식은 조직이 차지하는 공간정보도 알 수 없고 원래의 물질이 타면서 변형됐기 때문에 정확도에도 한계가 있다”고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