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성
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 지금의 중부 및 남부 유럽부터 동쪽으로는 시베리아 남부 오클라드니코프 지역까지 살았던 인류의 친척.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가장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변한 예가 있다. 이런 예를 보면 앞으로 수많은 호모 속 인류가 다른 이름으로 통합될
가능성
도 많다.인류 확산은 왜 이루어졌을까?현생인류는 인구가 늘어 환경이 비좁아지자 새로운 삶의 터전을 향해 떠났다. 하지만 정착 생활을 하지 않을 경우 인구가 늘기 어렵다. 아이 때문이다. 아이가 어릴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장균이나 바실러스 균 역시 많으면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성
이 크다. 가축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해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매몰 작업을 할 때는 가축의 배를 가르는데 이 과정에서 가축의 몸에 있던 대장균이 침출수에 섞여 나올 수 있다. 또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역시 MEMS 및 나노 기술이 답을 준다. 마이크로-나노의 세계에는 인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가능성
이 열려 있다.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젊은 인재들이 이 속에서 해답을 찾길 바란다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새 것으로 바꾸면 되니 말이다.21세기 의학계에는 그런 꿈 같은 일이 현실에서 일어날
가능성
이 펼쳐졌다. 바로 ‘줄기세포’ 덕분이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여러 가지 체세포로 변할 수 있는 일종의 씨앗 세포이다. 병든 세포 대신 나의 줄기세포를 이식해 알츠하이머나 당뇨병 등 수많은 질병을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SF영화는 실재하지 않는 막연한 꿈과 상상을 현실처럼 느끼게 한다. 하지만 때로는 그런 일이 실제로도 벌어지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우리는 이 넓디넓은 우 ...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사람이 쓰는 10진법보다는 단순하고 편리한 2진법이 통할
가능성
이 높지 않을까 ... ...
Part 2. 여성 수학자, 리더가 되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장선영 울산대 수학과 교수가 회장을 맡고 있다. 장 교수는 여성 수학자도 리더로서의
가능성
이 높다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한국여성수리과학회는 2004년 고계원 아주대 교수님께서 만들자고 제안하셨죠. 한국여성수리과학회가 생기면서 여성 수학자도 수학 실력뿐 아니라 행정적인 역할과 ...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하지만 이번에는 교육과정 전체의 흐름이 크게 바뀔 수 있어 수학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
이 있다. 어쨌든 과거처럼 논의 수준으로 진행될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2014년 중·고 수학 교과서, 수준별 도입은 어디까지?정부는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개정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현재의 한국인에게도 중동에서 현생인류에 섞여든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나올
가능성
이 높다.물론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이번 네안데르탈인 게놈 프로젝트에서처럼 한국인의 게놈을 직접 비교하는 방법이다. 언젠가는 이 방법을 이용해 직접 한국인 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는지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성장호르몬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밝혀내 SF소설에 등장하던 ‘슈퍼 농작물’ 개발
가능성
을 한층 높였다.건국대 생명공학과 임준 교수(사진)팀은 미국 듀크대 타이핑선 교수팀과 공동으로 식물 성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이 어떻게 세포 내에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어떻게 뿌리에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