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평소 동료나 제자를 위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늦게 출판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그럴
가능성
은 낮다. 어쨌든 이 기호는 오일러의 책에 인쇄된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이제 오일러 수 e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정의되는지 알아보자. 그런데 오일러 수는 고등학교의 수학II 과정에서 간단히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모두 지구공학의
가능성
과 효과를 염두하고 진행한 일들이다. 무시할 수 없는 부작용하지만 현재까지는 지구공학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더 큰 편이다.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공학이 일으킬 수 있는 각종 부작용 때문이다.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난 시즌 1400만 명, 이번 시즌 1600만 명이 신종플루백신을 접종했기 때문에 크게 번질
가능성
은 낮다. 다만 김 교수는 “병원을 찾는 신종플루 환자 대다수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이라며 “다만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80% 수준이기 때문에 백신을 맞았어도 신종플루에 걸릴 수 있다”고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의 소설 ‘푸른 꽃’에는 전설속의 푸른 꽃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이 나온다. 긴 방황 끝에 자연의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 ... 닮았다. 수렴진화를 고려한 딕슨의 미래의 지구를 보면, 적어도 코쟁이류가 탄생할
가능성
은 1억 년 뒤에도 희박할 것 같다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의 소설 ‘푸른 꽃’에는 전설속의 푸른 꽃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이 나온다. 긴 방황 끝에 자연의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 ... 닮았다. 수렴진화를 고려한 딕슨의 미래의 지구를 보면, 적어도 코쟁이류가 탄생할
가능성
은 1억 년 뒤에도 희박할 것 같다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정책 그리고 불확실성’에 근거해 효과, 비용, 시간, 안전 점수를 매겼다. 가장 실현
가능성
높은 아이디어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지구온난화로 가열되고 있는 지구를 식힐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온실효과를 줄이거나 들어오는 햇빛을 반사시켜 열 공급을 차단하는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경우 진공상태에서 15~20초 뒤 산소 부족으로 무의식 상태가 되며, 1~2분 후 생명을 잃게 될
가능성
이 높다. 훨러 박사는 “이 연구를 계속하면 우주공간에서 진공 상태에 노출되는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텅스텐-구리 나노복합분말 및 성형체 제조기술 역시 개발해 RAS식 전파흡수 방식도
가능성
을 보여줬다. 2006년 당시 민간기업에서도 스텔스 관련 도료와 전파흡수장치를 개발해 화제가 됐다. 결국 ADD는 2008년 이런 기술들을 정리해 ‘레이더 전파흡수용 복합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금은 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효율적임을 증명했다. 사람의 자가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아와 주변 조직을 재생할
가능성
을 보여 준 셈이다.비슷한 연구가 일본 도쿄이과대 연구팀에게서 나온 적이 있다. 지난 2009년 도쿄이과대 연구팀은 쥐 배아조직을 이용해 치아를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는 얻기 힘들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구워 가져다주는 기능을 선보인 적이 있습니다. ‘로봇이 가사노동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제시해 크게 호평을 받았지요. 이 때 마루Z는 다섯 손가락이 달린 손이 아니라 집게를 이용해 쟁반과 식빵 등을 집어 옮겼습니다.물건을 집게로 ‘끼워서’ 잡는 이런 방법을 로봇 공학자들은 ‘그립퍼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