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나로 모노폴에 대한 연구를 선정하기도 했다. 그렇다면 조만간 모노폴이 진짜 발견될
가능성
이 있는 걸까? 그보다도 존재할지 안할지도 모르는 모노폴을 물리학자들은 왜 찾기 시작한 걸까? 만약 모노폴이 발견된다면 어떤 의미가 있을까?모노폴의 존재이유우선 모노폴이 처음 등장한 얘기부터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현재 알려진 것과 전혀 다른 생화학 반응으로 살아가는 생명체가 지구 어딘가에 있을
가능성
을 제기한다. 원시 지구에서 태어난 이들 생명체가 멸종하지 않고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체가 전혀 없을 것 같은 환경에 있거나 혹은 지금의 생명체와 너무 달라 우리가 미처 알아채지 못하고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사라진 것은 아니다. 조직위는 더 이상의 논쟁을 삼가는 편이 조금이라도 노벨상 수상
가능성
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밝혔다.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이번 논쟁은 우리 물리학계에 적지 않은 의의를 남겼다. 우리 학자가 국제 과학계에서 ‘노벨상 후보’로 거론된 사실 자체가 처음 있는 일이기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네 발로 걸으면서 상황에 따라 두 발로 걸었고, 땅을 파는 습성을 지녔을
가능성
이 크다."공룡은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이 긴 시간 동안 지구의 생태계를 지배했던 경이로운 동물이에요. 공룡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미래에 다가올 환경 변화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가 있답니다" 허 민 (전남대학교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2만 년 전이다. 따라서 행성이 탄생하고 최소 30억년은 지나야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
이 있다고 본다.❹ 암석으로 이뤄진 행성 생명체가 기반을 잡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암석으로 이뤄진 단단한 고체 표면이 필요하다 ... ...
‘어린이과학동아’로 과학자의 꿈이 쑥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재밌는 과학 만화와 기사로 어린이들이 자연스럽게 과학에 관심을 갖게 하고, 무한한
가능성
을 열어 주기 때문이에요.많은 친구들이 ‘어린이과학동아’를 읽고 무한한 과학의 매력을 느끼고 즐겼으면 좋겠습니다.‘지붕뚫고 하이킥’의 빵꾸똥꾸 서신애 친구가 ‘어린이과학동아’의 ... ...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잘못된 식습관 같은 환경 때문이라고 해. 만약 네가 병에 걸릴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가능성
이 있다면 오히려 미리 조심할 수 있는 거지. 담배를 피지 않거나 술을 마시지 않고 조심하면 된단다.일란성 쌍둥이가 알려 준 유전의 비밀, 성격1979년 어느 날, 미국의 한 신문에 태어나자마자 각각 다른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있어. 기온이 높아지면 사과나무가 받는 스트레스가 커져서 병이나 해충의 피해를 입을
가능성
도 높아지고, 열매의 맛도 떨어지게 돼. 게다가 사과가 붉은색으로 잘 익지 않게 되지. 우리나라 사과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후지’ 품종 사과는 10~11월 기온이 10~12℃ 정도로 서늘해야 붉은색을 띠게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생기는 경우가 많다. 어렸을 때 물에 빠져 죽을 뻔했던 기억이 있다면 물을 무서워할
가능성
이 높다. 또 부모님이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물은 위험하고 빠지면 죽을 수도 있으니 조심하라고 하는 이야기를 계속 듣고 자랐다면, 자연스레 물만 봐도 공포를 느낄 수 있다. 간접적으로 경험한 셈이기 때문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측은 한국이 만든 2단 로켓이나 페어링이 분리되어야 할 시점보다 빨리 분리돼 폭발했을
가능성
을 얘기하고 있어. 하지만 나로우주센터에서 비행 영상과 나로 호로부터 원격으로 받은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분리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지.또 일부 러시아 언론은 한국이 만든 제어 시스템에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