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핵의 경우 온도가 충분히 높아서 물질의 구성 입자들이 전하를 띤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
이 크므로 이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니고 운동할 경우 흡사 원형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원형 전류에 의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된다면 막대자석과 같은 강자성체 ... ...
노벨상이 최고의 상인가?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등에서 생활한데다 미타그레플러와 교류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 두 이야기가 사실일
가능성
은 거의 없다. 해석학 분야 수학자인 라르스 괴르딩과 라르스 회르만데르가 면밀하게 분석해서 낸 결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꾸퍼뜨리면서 지금은 노벨상에 수학상이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겹친다고 볼 수 있다.이런 특성은 필즈상 수상자가 울프상이나 아벨상 수상자가 될
가능성
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실제 울프상을 수상한 다수의 수학자가 필즈상을 수상했다. 상금이 적어 노벨상 인기에 미치지 못했던 필즈상이 알게 모르게 수학 발전에 기여하는 수학자를 발굴해내고 있었던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생명과학도 발달해 유전자 조작으로 외계행성의 환경에 알맞게 만든 인공 박테리아를 쓸
가능성
이 높다. 테라포밍하려는 행성에 풍부한 물질을 먹이로 삼아 번식하는 박테리아, 행성 고유의 광물에서 건축 재료로 쓸 금속을 뽑아 내는 박테리아 같은 맞춤형 미생물이 외계행성에 착한 인류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직접적인 증거인 셈이다. 물론 핵융합로에서 핵융합 외의 원인으로 중성자가 발생할
가능성
도 있다. 하지만 핵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중성자에는 고유한 특성이 있어 핵융합의 결과물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바로 발생하는 에너지의 크기다.현재 KSTAR를 비롯해 세계 각국의 연구로에서 진행하고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잘 알지 못하는 수많은 피부색 유전자 중 하나에 새로운 변이가 생겨서 나온 결과일
가능성
도 높다.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알비노가 생긴 것이다. 현재 개인 게놈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므로 이러한 숙제는 머지않아 풀릴 것이다.2006년에도 음마치와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올리기는 힘들다. 6월 이후 재수생이 합류하면 모의고사 등급은 지금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
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수시모집에서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중요해. 네 경우 봉사활동과 리더십에 대해 입학사정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거야. 서류 전형 이후에는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빨리 진화하기 때문이다. 그런 기능을 하는 외계미생물이 사람의 몸에 들어와 공생할
가능성
도 빼놓을 수 없다.마지막으로 인류가 어떤 관계도 맺기 어려운 외계생명체를 상상해 보자. 폴란드의 SF작가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솔라리스’에 나오는 바다는 의식을 지닌 거대한 지성체다. 인간과는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형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체에서 가장 복잡한 기관이기 때문에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
도 많다. 쉽지 않은 작업인 만큼 완료한 뒤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크다. 어쩌면 지금 이 글을 읽는 젊은이가 노인이 됐을 때는 치매란 천연두처럼 먼 옛날에나 있었던 병에 불과하며, 인류는 인체에서 가장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확실하게 학습해야 한다. 모의평가의 기출문제나 선택지를 변형한 문제들이 출제될
가능성
이 높으므로 최근 3~4년간의 평가원 기출문제는 유형별로 정리해서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동안 등장한 지구과학 문제들을 살펴보면 수륙 분포의 변화나 별의 밝기와 거리, 우주관의 변화, 강수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