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사이언스] UFO의 침공?! 로켓이 만든 인공 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춤을 추었지요. 설마 외계인들이 지구로 단체 관광이라도 온 걸까요?사실 이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아주르(AZURE)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하늘에 쏘아 올린 로켓이 만든 기체 구름이에요. 노르웨이 안되위아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두 관측 로켓이 만든 광경이었죠. 아주르는 오로라의 비밀을 ... ...
- [섭섭박사 실험실] 과즙이 팡팡! 열대과일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구부러진 모양 때문에 포장을 했을 때 공간이 많이 생겨 충격에 약하거든요. 이에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히로시 이시이 교수팀은 2017년, 한 가지 기발한 해결책을 냈어요. 평소에는 납작한 판 모양이었다가 물에 닿으면 구부러지는 ‘변신 파스타’를 만든 거예요. 이러면 파스타를 빈틈없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땅 위의 진공청소기, 토네이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생기는데, 우리나라는 산이 많거든요. 세계에서 토네이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미국이에요. 평평한 땅이 많은 데다 로키산맥에서 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멕시코만에서 오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자주 충돌하기 때문이지요.토네이도는 위험한 자연재해를 일으킬 수 있어 발생하지 않는 게 ... ...
- [과학뉴스] 우주를 여행하는 돛단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얻으려면 매우 넓은 돛이 필요해요. 그러면서도 무척 가벼워야 하지요.지난 6월 25일 미국 민간우주 기업 스페이스 X의 ‘팰컨 헤비’를 타고 우주로 떠난 라이트세일2호는 돛을 펼치기 전에는 식빵 크기에 불과해요. 약 한 달간 자세를 잡고 카메라 테스트 등 성능 점검을 마친 라이트세일2호는 ... ...
- [과학뉴스] 에어로젤 있으면 화성에서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풀어야 할 숙제가 많아요. 지난 7월 16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로빈 워즈워스 박사팀과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실리카 에어로젤을 이용해 화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작은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실리카 에어로젤은 이산화규소 성분의 반투명 신소재 물질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데 성공한 중국의 로버 ‘위투(옥토끼) 2호’가 있고, 화성에는 2012년부터 활동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큐리오시티’가 있답니다. 또한 인도우주연구기구는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로 이루어진 ‘찬드라얀 2호’를 달로 보낼 계획을 세우고 있지요. 미션1. 기자단이 만든 로버의 정체를 ... ...
- [만화뉴스] 물갈퀴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이상 증식하지 않고 죽는 ‘세포사’가 일어나 이 같은 물갈퀴가 없지요. 지난 7월 4일,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일본 도쿄공업대학 공동연구팀은 물갈퀴의 존재를 결정하는데 산소 농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발톱개구리의 올챙이를 산소 농도가 높은 수조에서 키우자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지역의 빛 공해가 심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요. 이에 대해 키바 연구원은 “한편 미국 애리조나주의 투손 지역은 LED 조명 시스템을 잘 디자인한 덕분에 빛의 양을 3분의 2로 줄일 수 있었다”며 “이처럼 LED 조명으로 에너지도 아끼고, 빛 공해도 줄일 방법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기네스 기록 세운 소뿔의 길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6월 14일, 기네스월드레코드는 미국 앨라배마주 한 농장에 사는 7살 된 텍사스긴뿔소 ‘폰초’가 세계에서 가장 긴 뿔로 기네스 기록을 세웠다고 밝혔어요. 기네스 협회 공식 기록관이 뿔의 양 끝 길이를 측정한 결과, 폰초의 뿔 길이는 기존 기록보다 약 2.5cm 더 긴 323.74cm로 그랜드 피아노의 2배만큼 ... ...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해(사진➊). 우리는 2006년, 필리핀 보홀섬 아바탄 강에서 처음 발견됐어. 지난 6월 19일,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루벤 쉽웨이 박사팀이 우리의 생태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세상에 알려졌단다. 연구팀은 라틴어로 바위를 뜻하는 ‘리토(lito)’와 ‘배좀벌레(teredo)’의 일부를 따 우리 이름을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