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양약과 한약으로 나눠졌을까과학동아 l1996년 08호
- 1백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즉 약은 인체내에 존재하는 3차원적, 동력학적 분자(수용체)와 상호반응을 통해 약 작용을 한다는 것이 오늘날 확립된 양약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음양오행 이론, 4체액설, 4기5미 개념, 특징주의 믿음과 같은 것은 고대의 사변적 지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1800년대 ... ...
- 은하수는 식초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우리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사수자리 B2는 거대한 가스구름이다. 이 곳에서 초산(acetic acid)분자들이 발견되면서 은하수 내 2만5천광년 길이를 가진 거대한 먼지가스구름이 식초로 이뤄졌다는 주장이 나온 것이다.이번 발견의 주역인 일리노이대학 스나이더박사는 “초산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즉 날록손 분자가 뇌 부위 세포막에 있는 아편 수용체에 미리 결합해 나중에 투입된 아편 분자가 결합할 수 없게 만든 것이다.수용체를 발견한 뒤 다음 단계는 왜 이들이 중추신경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었다. 수용체는 아편이나 강력한 마취제에 효과를 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때문이다. 그런데 불을 끄고 플라스크 내부에 있는 수증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멀어졌던 분자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면서 부피가 줄어든다. 자연히 플라스크 안의 압력은 낮아지고 풍선이 빨려들어가면서 플라스크 벽에 붙게 된다. 4. 접착제 없이 풍선 붙이기적당한 크기로 풍선을 불어 옷이나 ...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생물을 의미한다. '복제인간' 이라고도 불리는 그들에겐 수명도 있다.안드로이드는 분자 생물학의 발달로 탄생된 SF의 주인공이다. 로버크(David Rorvik)는 1978년 그의 저서 '복제 인간'(The cloning of a man)에서 처음으로 복제 인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실험적으로도 성공했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당시 ...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에너지다. 아름다운 삶을 유지한다는 것은 보고 듣고 말하고 운동하고 통신하고 필요한 분자를 합성하는 일 등을 말한다. 이런 일들이 중단없이 이뤄지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에너지는 모든 생명체가 실시하는 호흡에서 얻어진다.식물은 광합성 동화작용에 의해 이산화탄소(CO₂)를 ... ...
- 2. 반입자와 반물질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양성자 1개와 전자 1개가 전자기력에 의해 결합돼 있다. 물론 더 복잡한 원자나 분자, 생체 등의 물질은 더 많은 입자들로 구성돼 있다.20세기 초 기존의 물리학 개념을 뛰어 넘는 양자이론이 형성됐다. 이 과정에서 영국의 물리학자 디랙은 1928년 수소원자의 상대론적 양자이론을 발표했는데, 그 ... ...
- '인공생명' 10문 10답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위성 표면에 배치될 자기 복제공장의 개념을 설계한 적이 있다.하드웨어기술, 특히 생체분자를 이용하는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인공생명이 탄생할 것을 기대해본다.창발적 행동(emergent behavior)여러 개의 단순한 행동을 하는 개체가 주위 환경과 상호 ...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나머지 물과 친한 부분은 바깥쪽 물분자와 연결되게 된다. 이 올챙이 모양의 비누분자들은 계속 흔들리다가 기름성분들을 둥그렇게 둘러싼 상태로 떨어져 나온다. 이런 과정이 거듭되면서 빨래는 세탁이 된다. 여기서도 알칼리금속 화합물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칼리 이온음료가 산성인 ...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작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들은 공기 분자가 빛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보다 물 분자가 빛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크다고 가정했다. 파동설 진영에서는 공기와 물의 경계면에서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의 간격, 즉 파장이 짧아져 굴절이 생긴다고 설명했다(그림2). 하지만 이는 하나의 가정일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