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과학동아
l
200708
때문이다.오하이오주립대 의대 퍼다우스 대버 교수가 2005년 4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적당한 스트레스는 백혈구의 숫자를 늘려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 다만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르티솔 호르몬이 백혈구를 만드는 림프구의 분비를 감소시켜 면역기능을 ... ...
형광단백질이 만드는 빛나는 세포
과학동아
l
200707
개발했으며 이를 야생상태에서 번식할 수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3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발표했다.색 구별만으로 말라리아에 감염될 위험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형광단백질의 유용성 뒷면에는 생명체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4년 ... ...
언어가 색상 인식에 영향 끼쳐
과학동아
l
200706
정도)가 다른 파란색을 더 잘 구별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8일자에 발표됐다.연구팀은 보스턴 지역에 사는 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서로 채도가 다른 파란색을 구별하도록 했다. 총 20가지 파란색 가운데 3가지 색을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하단의 파란색 ... ...
흙진드기, 다시 사랑해도 될까요
과학동아
l
200706
해온 흙진드기가 조상종이 했던 유성생식을 다시 시작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흙진드기는 크로토니데(Crotoniidae)과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이 출아법과 유사한 처녀생식을 하고 있다. 어미가 낳은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대부분 암컷이다. 간혹 수컷이 ... ...
쥐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705
박사팀은 기생충에 감염된 쥐가 고양이를 겁내지 않는 이유를 밝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판 4월 2일자에 발표했다.쥐는 고양이의 소변 냄새를 맡으면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간다. 이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가 천적인 고양이를 피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행동이다. 그런데 ... ...
과학으로 본 오리, 펭귄, 사람의 걸음걸이
과학동아
l
200705
가장 잘 어울리는 걸음걸이라는 점이다. 미국 뉴욕대 케리 존슨 박사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호에서 “사람들은 어깨를 흔들며 당당하게 걷는 남자와 골반을 좌우로 흔들며 걷는 여자를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고 말했다.팔과 다리 엇갈리며 움직이는 이유펭귄은 몸에 비해 다리와 날개가 ... ...
원시인은 우유 먹으면 모두 배탈
과학동아
l
200704
요하임 부르거 교수팀과 영국 런던대 마크 토마스 교수팀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6일자에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선사시대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독일, 폴란드, 헝가리, 리투아니아에서 발굴된 약 3800~6000년 전의 인류 8명의 뼈에서 DNA를 추출해 현재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04
사는 미생물이 장 내벽에 모세혈관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2002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대장균은 영양물질을 발효시키거나 분해해 창고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모세혈관이 많아질수록 장 내벽으로 영양분의 흡수가 잘 일어난다.그는 또 2006년 12월 21일 장에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01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림을 기억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1월 6일자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비둘기가 기억능력이 뛰어나며 기억에 근거해 행동방법을 배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조류가 기억능력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몰랐다.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01
많으면 배 쪽 가깝게 팔다리가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1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개에 대한 연구도 있다. KAIST 생명과학과 박찬규 교수팀은 개의 뒷발에 1~2개 정도 생겨나는 덧발톱이 16번 염색체에 위치하는 LMBR1 유전자와 관련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는 2004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