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trium
나트륨램프
램프
람푸
람프
d라이브러리
"
나트륨
"(으)로 총 636건 검색되었습니다.
은수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실험에는 독성이 약한 황화
나트륨
(Na2S)이나 황화칼륨(K2S)을 사용한다. 황화
나트륨
수용액에 은수저를 넣어도 은수저가 검은색으로 변색된다.은수저는 황이 포함된 화합물과 반응해 황화은이 생성됐을 때만 검게 변하므로 은수저가 모든 독을 검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은수저는 독성이 전혀 없는 ... ...
등심, 안심, 우족 맛이 서로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MSG)과 핵산관련물질인 이노신산(IMP)이다.쇠고기가 포함하고 있는 글루타민산
나트륨
은 감칠맛을 내는 효소 작용을 돕고 당과 혼합해 고소한 향을 만든다. 이노신산은 쇠고기가 숙성하는 동안 만들어져 감칠맛을 내는 역할을 한다.쇠고기의 감칠맛을 즐기는 데는 고기가 수분을 얼마나 유지할 수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탄산수소이온(HCO3-)으로 해리되고 해리된 탄산수소이온은 혈장으로 확산돼 그대로 또는
나트륨
이온(Na+)과 결합한 형태로 폐포까지 운반된다. 이산화탄소는 혈장에 CO2 상태로 용해돼 운반되거나 헤모글로빈과 결합해 운반되기도 한다. 운반된 이산화탄소는 폐포에서 반대 방향의 반응이 일어나 ... ...
손안에 넘치는 사랑 따스한 하루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기존 핫팩은 철이 공기와 만나 산화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거나 (분말형)과 아세트산
나트륨
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바뀌면서 방출하는 열을 이용했다(액체형). 분말형은 10시간 이상 열을 내지만, 철이 산화하며 한번 열을 방출하면 다시 사용할 수 없다. 액체형은 한번 사용한 뒤 가열하면 ... ...
소금 법정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아닙니다. 이 염소가 누구와 함께 있는지에 따라 짠맛이 달라지거든요. 예를 들어 염소가
나트륨
과 함께 있을 때는 물 1ℓ당 염소가 250㎎이 있어야 짠맛을 낼 수 있습니다. 반면 칼슘이나 마그네슘과 있을 때는 물 1ℓ당 염소가 1000㎎은 있어야 짠맛을 낼 수 있답니다. 그래서 공장에서 소금을 어떻게 ... ...
[생물]혈액형 유전자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효과에 의해 역반응이 일어나 H+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수산화
나트륨
(NaOH)를 더하면 OH-가 H+와 반응해 H+가 감소하지만 정반응이 일어나 H+를 보충하므로 pH 변화가 거의 없다. 완충 용액은 공통이온 효과와 관련이 있다 ... ...
미래의 환경 전사, 레버쿠젠에 모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활용한다.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소재의 폐기물이 용광로에서 처리되면 염화
나트륨
성분의 물질이 나오고, 이 물질은 알루미늄을 제조하는 원료로 쓰인다.또 하나 환경대사들의 관심을 끈 건 쓰레기로 전기를 만든다는 것. 폐기물을 용광로에서 처리할 때 발생하는 증기로 발전을 하는 것이다.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노란색이다. 찌개국물이나 라면국물이 넘칠 때 가스레인지 불꽃의 색이 변하는 현상도
나트륨
의 불꽃반응 때문이다. ●실험 시 유의할 점 불과 함께하는 실험은 위험하다. 쇠는 비열이 낮아 쉽게 뜨거워지지만 달아올라 빨갛게 색이 변하기 전까지는 화상을 입힐 정도의 높은 온도라도 티가 나지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나트륨
이온(Na+)과 염소이온(Cl-)이 서로 전자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결합한 물질이다. 이때
나트륨
이온과 염화이온의 전자 배치는 비활성 기체인 네온(Ne)과 (Ar)의 전자 배치와 같다. 전자를 내놓으려는 경향이 비슷한 원자들은 서로 전자를 주고받기가 어렵다. 이와 같은 원자들은 각각 전자를 1개씩 ... ...
와인병에 양성자 빔 쏴 ‘짝퉁’ 판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06eV)의 양성자 빔을 만든 뒤 이를 와인병에 쐈다. 그리고 이때 와인병을 구성하는 실리콘,
나트륨
, 철, 마그네슘 등 15가지 원소가 방출하는 X선을 분석했다.구에난 박사팀은 이 결과를 원산지를 아는 와인병 80개의 원소와 비교해 제조 연도와 지역을 추정했다. 이들 와인병 80개는 1859년부터 지금까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