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트륨"(으)로 총 636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의점 음식, 먹기 전 확인해 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붙이거든요. 어떤 것이 더 나중에 만들어진 김밥인지 확인해 봐요! 용어 설명 나트륨★ 소금에 들어 있는 물질이에요. 몸의 수분을 유지하도록 돕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질병에 걸릴 수 있어요 ... ...
- [통합과학교과서] 신기술로 다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전기적 신호에 의해 움직입니다. 신경세포 덕분이죠. 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세포는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 통로를 통해 다른 세포와는 달리 전기적인 방법으로 근육 세포 등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요. 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신경세포와도 시냅스●라는 구조를 통해 화학적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채널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살충제가 신경세포로 들어오더라도 나트륨 채널을 계속 열어둘 만큼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겁니다. 이런 돌연변이 빈대가 우점하는 상황이 되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는 무용지물이 됩니다. 2023년은 다시 빈대의 해가 됐습니다. 11월 9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달콤바삭! 크루아상 빼빼로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음료에서 톡 쏘는 맛이 나도록 돕습니다. 탄산수소나트륨과 구연산이 만나면 구연산나트륨과 물,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요. 이산화탄소 덕분에 뽀글뽀글 톡톡 튀는 청량한 탄산음료가 완성되지요. 용어 설명 ●드라이효모 : 보관을 위해 생효모의 수분 함량을 낮춰 효모를 건조하게 만든 형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기체가 방울방울! 입안대고 풍선불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탄산수소나트륨입니다. 식초는 주로 아세트산으로 이뤄졌지요. 약한 염기인 탄산수소나트륨과 약한 산인 아세트산이 반응하면 물과 탄산이 만들어집니다. 탄산은 공기 중에 그대로 남아 있지 못하고 금세 이산화탄소 물로 나눠집니다. 수조 안에 비눗방울을 불어 넣으면 일부 비눗방울이 공중에 ... ...
- [헷갈린 과학] 이온음료 VS 탄산음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빠져나갑니다. 전해질은 전하를 띠는 물질로 물속에서 전기를 통하게 해요. 우리 몸에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등의 전해질이 있어 영양소를 옮기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이온 음료에도 이런 전해질이 들어 있어 운동한 뒤 이온 음료를 마시면 빠져나간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할 ...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안으로 들어와 점막의 세포가 팽창하면서 통증이 느껴지는 거예요. 고흡수성 수지에도 나트륨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물속에 넣어 놓으면, 물이 농도가 높은 고흡수성 수지 안으로 들어가지요. 고흡수성 수지는 흡수한 물을 가둬서 물이 빠지지 않고 부피가 커질 수 있습니다. 고흡수성 수지를 ... ...
- [4컷 만화] 전투력 甲 총알개미에 숨겨진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닫히는 것을 막아 통증이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된다고 분석했어요. 샘 로빈슨 박사는 “나트륨 채널을 겨냥하는 독은 개미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이라며 “이번 연구는 통증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작년에 발표한 발명품은 ‘싱거운 음식도 짜게 느끼는 젓가락’이다. 고혈압, 뇌졸중 등 나트륨 과다섭취로 인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짠맛을 더 강하게 느끼는 젓가락을 만들었다. 여기까지 보면 연구의 의도도, 결과도 건전하다. 문제는 그 방법이 이상하다는 것이다. 이 젓가락은 혀에 미세한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일종)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구조는 비슷하나 주원료로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사용해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갖습니다. 전해질로 액체 대신 고체를 사용하는 전고체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도 화재 위험이 적은 차세대 배터리로 평가받습니다. 최윤석 교수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