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d라이브러리
"
변형
"(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과학의 힘] ‘산업의 감초’ 과산화수소, 더 싸게 더 많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말살시키는 것이다. 산업에서는 분해하기 굉장히 어렵다는 다이옥신과 같은 물질도
변형
시켜 제거한다. 금보다 비싼 팔라듐 가격이 문제 과산화수소는 1818년 처음으로 합성됐고, 1940년대 독일에서 ‘안트라퀴논 공정’이라는 대량생산 기술이 개발되며 비로소 산업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게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학습량이 방대합니다. 덕분에 많은 자료로 학습시킨 버트 모형은 일정 부분만
변형
해서 필요한 언어나 분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뭐든 척척 알아듣고 답하는 버트의 비밀은 전이학습 버트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뛰어난 언어 인식 능력을 발휘하는 비결은 ‘전이학습’이라는 방식을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사용된다(20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분야다). 예 교수는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변형
해 스스로 수용체를 만들게 하고, 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항체를 분리하면 된다”며 “길항제는 박테리오파지의 수용체와 쉽게 결합해 그만큼 분리하기도 쉽다”고 설명했다. 반면 작용제는 수용체가 ... ...
실험꾼이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흰쥐’ 하면 실험 쥐가 딱 떠오르쥐? 그래서 연구소에 있는 우리 친구들을 가장 먼저 소개할게. 쥐가 왜 이곳에서 활약하게 된 건지 그 이유를 알려 ... 만들어 실험실에 제공하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많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직접 유전자
변형
쥐를 개발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답니다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어떤 탐사를 했는지 소개해 주세요.성근 이번 대회의 주제가 ‘외래생물과 유전자
변형
생물체가 우리 생활과 생태계 안전에 미치는 영향’이었어요. 평소 외래식물 제거 봉사활동에 참여하면서 왜 단풍잎돼지풀을 제거해야 할까 궁금했기 때문에 이 주제를 탐구하기로 했지요.연주 그래서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기술을 적용했을 때 원하는 시퀀스로만 교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시퀀스가 무작위로
변형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 기도나 췌장처럼 원하는 위치에 프라임 에디팅의 구성 요소들을 전달하는 기술도 부족하다. 현재 유전자 치료에서 전달체로 널리 사용되는 ... ...
칠교놀이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그럼 4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은 어떤 조건을 가질까? 대부분의 연구자는 덴 불변량을
변형
해서 사용해. 덴 불변량은 3차원에서 차원이 2만큼 차이나는 모서리(1차원)의 길이와 이면각을 이용하잖아. 이 점에 착안해 4차원에서는 1차원 낮은 3차원 공간과 공간이 만나 이루는 면(2차원)의 넓이와 ... ...
변화하는 환경엔 말랑말랑한 내가 최고! 소프트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소프트로봇이 공기 압력 등으로 팽팽해지지 않을 때는 흐물흐물하게 늘어지며 모양이
변형
되는 단점도 극복한 거랍니다. 액추에이터 개발과 움직임 예측이 과제소프트로봇은 딱딱한 로봇에 비해 낯선 환경에 잘 적응해요. 물렁한 몸은 주변 환경에 맞게 크기와 모양이 쉽게 변하거든요. 문제는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있으면 전 세계 어디에 있는 사람에게든 내 생각을 공유할 수 있고, 심지어 자유자재로
변형
해서 보여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런 로봇들이 스스로 생각도 할 수 있을까요? 이인우: 저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머신러닝은 학습하는 것처럼 보일 뿐 진짜 학습하는 게 아니고 인간이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진폭)가 줄어들고 파형도 바뀐다. 노이즈 캔슬링은 이어폰에 달린 마이크로 이렇게
변형
된 파동을 잡아내고, 이 파동의 역파동을 만들어낸다. 이 때문에 귀 안쪽이 밀폐되지 않으면 다른 소리가 유입돼 파동을 정확히 추출하기 어렵다. 마이크를 통해 유입된 소음은 DSP(Digital Signal Proce ssor)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