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형"(으)로 총 1,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술을 적용했을 때 원하는 시퀀스로만 교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시퀀스가 무작위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 기도나 췌장처럼 원하는 위치에 프라임 에디팅의 구성 요소들을 전달하는 기술도 부족하다. 현재 유전자 치료에서 전달체로 널리 사용되는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그럼 4차원 이상에서 분할합동은 어떤 조건을 가질까? 대부분의 연구자는 덴 불변량을 변형해서 사용해. 덴 불변량은 3차원에서 차원이 2만큼 차이나는 모서리(1차원)의 길이와 이면각을 이용하잖아. 이 점에 착안해 4차원에서는 1차원 낮은 3차원 공간과 공간이 만나 이루는 면(2차원)의 넓이와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전략인 ‘좀비 길들이기’의 경과를 알아보기 위해 칼튼대 연구팀이 개발한 SZR 모형을 변형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우선 집단을 생존자, 야생 좀비, 길들인 좀비, 사망자로 나누고, 시간에 따라 네 집단의 상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했다. 이 모형에선 길들인 좀비가 탈출할 확률, 야생 좀비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작용하는 외부 힘의 크기에 비례해요. 고무줄을 세게 잡아당길수록 고무줄 모양이 많이 변형돼 탄성 에너지가 커진답니다. 고무줄 총은 이러한 고무줄의 탄성을 이용해 고무줄을 날려요. 고무줄을 잡아당기면 고무줄에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 에너지가 쌓이고 고무줄을 놓으면 탄성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체로 승화되도록 한다. 열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영양소의 파괴나 맛의 변화, 외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얼음이 기체로 증발하면서 원래 얼음이 있던 자리는 미세한 구멍(pore)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을 넣으면 수분이 구멍에 채워지면서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예를 들어 라면의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특히 탄소를 가장 많이 섞죠. 탄소를 많이 섞을수록 단단하지만, 너무 많이 섞으면 변형이 어렵고 쉽게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긱블은 포스코의 자문을 받아 탄소 함유량이 0.9~1.0%인 고탄소강과 0.25%인 일반강을 섞으면 다마스쿠스 강과 비슷한 무늬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마치 두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려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수학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민합니다. 특히 원래 문제를 변형해 더 어렵고 추상적인 문제로 만들어서 생각하는 것을 즐깁니다. 군더더기를 제외하고 문제의 핵심만 남겨 일반화해 더 어려운 상황을 만들면 그 덕분에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많은 경우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쉽고, 빠르게 계산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그리고 함수를 조금씩 변형하면 곡면이 두 개로 갈라지거나, 합쳐지는 등 모양이 바뀌는 것도 쉽게 구현할 수 있지. 덕분에 더 자연스럽고 현실감 있는 장면을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었어. 겨울왕국을 만든 디즈니는 물론 애니메이션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법칙을 ‘훅의 법칙’이라 부른답니다. 미션2. 탄성은 무한할까? 외부의 힘을 받아 변형된 물체에 일정 크기 이상의 큰 힘을 주면 원래 모양으로 되돌아오지 못해요. 이렇게 더 이상 원래 모양으로 되돌 아오지 못하는 힘의 한계를 ‘탄성 한계’라고 하지요. 풍선을 너무 크게 불면 터지는 것도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유전체로 사용됩니다. 유전체는 전하를 모아놓는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투명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실리콘 탄성 중합체를 유전체로 사용합니다. 안압에 따라 실리콘 탄성 중합체의 두께가 변하면서 센서를 누르는 압력이 달라지는데, 이를 정전 용량 값으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