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기"(으)로 총 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실수가 이어지는데, 백이 왼쪽 아래에서 살기 위해 백134로 밀고 나오는 장면이다. 여기서 알파고는 흑135로 한 칸 뛰어 좋은 모양을 만들었는데, 그냥 A에 두었다면 백이 살 길이 없었다. 이 정도는 아마추어 중급자 정도만 돼도 찾을 수 있는 수다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어떤 동물보다도 환경에 잘 적응하는 특성이 있어요. 그래서 두꺼운 빙하로 덮여 공룡이 살기 어려운 지역에도 널리 퍼져 나갔을 거예요. 어쩌면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포유류의 털 대신 죽은 공룡의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을지도 몰라요. 무엇을 먹을까?모든 동물은 다른 생물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볼 수 있는 셀카봉에 작은 손거울을 붙여 만들었어요. 제비는 꼭 사람이 있는 집에만 살기 때문에 제비 탐사를 하려면, 반드시 제비둥지가 있는 집주인에게 양해를 구해야 돼요. 그 뒤 이 셀카봉으로 제비 둥지 안을 살짝 들여다보는 거예요. 제비가 지금 살고 있는 둥지인지, 혹은 빈 둥지인지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면을 파고 등대를 세웠다. 그게 약 3000년 전의 일이었다.하지만 내가 기지를 세우고 살기 전까지 케플러 64에 지적인 존재가 세운 인공 설비는 등대 하나뿐이었다. 그리고 현재 케플러 64에 살고 있는 지적인 존재는, 그 등대를 어떻게 켜고 끄는지도 모르는 나 한 사람뿐이었다. 조사관은 투명한 ... ...
- Part 2. 닭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열대우림에 사는 야생 닭인 ‘적색야계’(아래 사진)예요. 적색야계가 인간과 함께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000~6000년 경으로 알려져 있어요. 2012년 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앨리스 스토레이 교수팀은 가축닭과 적색야계의 DNA를 조사해 적색야계에서 갈라진 가축닭은 기원전 3000년경에 중국, 인도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지금까지 시리아 내전으로 희생된 사람의 수는 25만 명에 이르고, 약 380만 명의 사람들이 살기 위해 시리아를 떠났어요.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숨지고 있지요.쿠르디처럼 전쟁과 내전을 피해 다른 나라로 떠나는 사람들을 ‘난민’이라고 해요. 이뿐만 아니라 인종과 종교, 국적, 정치적 ... ...
- PART2.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훈련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나요?이번 미션에서 화성이나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 인간이 살기에 적합한 거주지 디자인을 연구하는 임무를 맡았어요. 몇 년 후 화성 유인탐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당연히 참가하고 싶어요. 그런 엄청난 모험을 절대 거절하진 못할 거예요.▼관련기사를 계속 ... ...
-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태화강에 살고 있는 어류 친구들을 찾는 것이 중요했어.태화강은 예전에는 생물들이 살기 힘든 곳이었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기준으로 보면 1996년에는 11.3ppm으로 6등급의 더러운 물이 흐르고 있었거든. 하지만 2008년 태화강 하류 일대를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선정하고, 태화강 살리기 ...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되면 우리 북극 곰은 더 이상 살 곳이 없어지겠죠?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서 북극에 살기 힘들어진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다른 곳이라고 안심할 순 없어 요. 미국 항공우주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해수면이 1m 이상 높아지면 도쿄와 싱가포르 등 세계의 큰 도 시들도 물에 잠길 거라고 해요. 그러니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는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는 데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2050년 96억 명의 인구가 먹고 살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89%의 물을 농·축산업에 써야 한답니다.그래서 우린 먹을 거리가 부족해질 2050년을 대비해 지금 우리가 먹는 곡물이나 소, 돼지, 닭고기를 대체할 무언가를 찾아야만 하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