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학자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동료 법과학자들과 의논하고 상급자가 최종 검토한다.법과학자의 대부분은 많은 시간을 연구실에서 보낸다. 언뜻 생각하면 법과학자들이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수시로 현장을 방문해야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정 교수는 “상황에 따라 현장 조사도 중요하지만, 법과학자가 현장을 ... ...
- [특집] 더 자고 싶었는데! 겨울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국립생태원 진화생태연구팀 팀장), 구교성(이화여자대학교 에코생명과학부 인지생태연구실 박사후연구원), 배윤혁(난징임학대학교 연구원), John Bradford(Spaceworks president & CTO) ★참고 (리자 바르네케, 에코리브르, 2019 ...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줘야 하고,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주는 뇌를 만들었죠.”그러다 지도 교수님과 연구실 박사 선배들이 인공지능 회사를 창업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자연스레 인공지능으로 관심을 돌리게 됐다고 전했어요. Q&A 궁금해요! Q 어떻게 이말년 작가의 화풍으로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만화가를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컴퓨팅 효율 러닝 연구실. 바닥에 놓여있던 손바닥만 한 로봇이 연구원의 손을 쫓아 스스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자율주행 로봇이었다. 작은 크기의 로봇에서 복잡한 자율주행을 구현한 비결을 묻자 김예성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뇌인지과학과 수학을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관심을 갖게된 것이 계기가 되었지요. “지난 2019년, 이화여자대학교 식물계통분류학 연구실의 김혜원 연구원이 기후 변화에 따른 개화 시기 변화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지난 50년 동안 홍릉수목원에 있는 나무 73종의 개화 시기와 기상 정보를 활용했지요. 분석 결과, 나무의 개화 시기는 50년 ...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시각에서 바라보는 과학자가 있다. 2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나노물질 양자소자 연구실에서 만난 김영욱 신물질과학전공 교수는 그래핀을 비롯한 2차원 물질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양자 상태를 찾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그래핀으로 다시 한번 전성기 맞은 양자홀 상태우리가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참여’ ‘UC버클리에서의 한 학기’승재 씨는 지난 2년 사이에 다양한 이력을 채웠다. 연구실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기숙사 복지팀장과 학생 홍보대사를 맡았다. “대학에서 취업으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과정이 싫어서 학사과정부터 연구와 다양한 활동을 지원해주는 지스트를 택했다”는 승재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했죠. Q 평소에도 개미에 관심이 많았나요?예전에는 관심이 많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연구실에서 개미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많았고, 그 영향을 많이 받아서 개미에 관심이 생겼어요. 또 사회성을 가진 개미의 특성이 매력적이었고, 개체수가 많아 많은 데이터를 모아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도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해하고 인류에 대해 확장된 시야를 갖게 되면 좋겠습니다.”2월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연구실에서 만난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은 고고학과 역사를 주로 다루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류 진화라는 과학적인 주제로 특별전을 기획한 계기를 묻는 질문에 ...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현재의 음성 인식 기술로 자연스러운 대화는 아직 완벽하게 인식하기 어려운데, 우리 연구실은 대화에서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더불어 대화의 내용을 이해해 적당한 응답을 내놓는 기술도 열심히 연구하고 있답니다! 삼각함수는 음성 신호의 숨어있는 특징을 보여줘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