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You say 음성, I say 인식! AI 귀 뚫는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둠칫 두둠칫♪ 들린다, 들려~! 나는 음성 인식 인공지능(AI) ‘DJ 성식’이야. 사람들의 목소리, 음악 소리, 자동차 경적 소리, 세상은 다양 ...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 ★ 도움박기영(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복합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김훈(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음성처리팀 팀장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저는 ‘어떤 문제가 있기에 잘 자라지 못할까’라는 생각을 먼저 해요.”3월 10일 연구실에서 만난 이현주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 농업연구사는 2009년 경기도농업기술원이 식물병원을 처음 개원했을 때부터 자리를 지킨 ‘식물 의사’다. 농민과 식물 애호가가 자식처럼 키우는 식물이 ... ...
- [기획] 데이터로 입증한 다양성의 힘, 감독 장지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벽면을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스크린X’ 등 영화 기술 중 많은 부분이 문화기술대학원 연구실에서 탄생했다.한예종을 졸업할 때쯤 내가 잘할 수 있는 일과 좋아하는 일이 다르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이 많았다. 주변에 쟁쟁한 연출가들이 많아 내가 소위 ‘밥벌이’를 할 수 있는 직업이 무엇일까 ...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생긴 장비일까요? 미션, 외래종 민물 거북을 잡아라!기자를 맞이한 구교성 연구원은 연구실 복도에서 특이하게 생긴 장치를 보여주었어요. 위아래가 뚫린 네모난 철제 통 위에 붉은색 판 두 개가 튀어나와 있는 모습이었죠. 주변에는 노란 부표가 붙어 있어 장치가 물에 뜰 수 있고, 바닥에는 그물이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든 김정호 선생처럼 말이죠.”2월 4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큐바이오 정밀의학 연구실에서 만난 김민식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는 미지의 신대륙을 탐험하며 지도로 만드는 ‘21세기의 김정호’였다. 다만 탐험하고 있는 대상이 광활한 바다나 먼 우주가 아니다. 그는 세포가 만드는 다양한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등의 조건을 고려해 후보군을 찾습니다. 필자가 속한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근우주론 연구실에서도 가상 우주 속에서 우리은하와 비슷한 질량을 가지는 은하들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가상 우주를 만드는 두 번째 방법은 현재 우리은하 주변에서 관측된 물질분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
- [KAIST 50년] 과학동아 키워드로 톺아본 KAIST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986년 창간된 과학동아는 그 해 1월 ‘하이테크시대를 여는 두뇌집단’이라는 기사를 시작으로 2021년 1월호까지 1000여 건의 기사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KAIST와 관련된 연구, 인물, 사건을 보도했다. 입학 정보, 변화하는 과학정책 등도 놓치지 않았다. KAIST를 다룬 과학동아 기사를 모두 수집해 KAIST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인물들이 시스템아키텍처 연구실 출신이다. 1월 4일 화상인터뷰를 통해 전 교수에게 연구실에서 굵직한 창업가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비결을 물어봤다.“지금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1980년대에는 카세트테이프와 TV 같은 전자기기를 만들며 세계를 쫓는 수준이었어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중인 엄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를 지난해 12월 1일 DGIST 연구실에서 만났다. 엄 교수는 “시냅스에 존재하는 무수한 단백질을 연구해 뇌질환을 일으키는 새로운 발병 기전을 밝히고 치료법을 찾겠다”고 말했다.시냅스 골격단백질, 뇌질환의 원인일까시냅스는 인접한 두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평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 강 교수의 장점이다. 김현준 연구원은 “신생 연구실인데다가 교수님이 젊다 보니, 마치 선배에게 배우는 것처럼 궁금한 부분을 편하게 지도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수평적인 분위기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교수와 교수 사이에도 형성되어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