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맹
연합
합동
단결
협회
맹약
리그
d라이브러리
"
연맹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왜 행성으로라도 승격시켜야 할지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천문
연맹
(IAU)이 베스타의 외모가 다소 찌그러졌지만 정역학적 평형에 의해 결정됐다고 확신해야겠지만 말이다. ‘새벽’이라는 의미의 던은 올해 베스타를 떠나 다음 목표로 간다. 2015년에 도착할 예정인 목표는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오리과에 속하며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돼 있다. 비록 세계자연보전
연맹
(IUCN) 범주로는 “널리 퍼져 있고 개체수도 많아 걱정이 없다”는 뜻의 ‘관심대상(LC)’에 속하지만, 생물은 지역별 멸종도 위험하다.“기러기는 멋있는 새예요. 이런 말이 있죠. ‘기러기는 더러운 땅에는 앉지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살아있는 반달가슴곰도 복원 전 근친퇴화 과정을 겪었다. 지난 2001년 세계자연보전
연맹
(IUCN)의 보존번식전문가그룹(CBSG)이 지리산 반달 가슴곰의 생존능력을 분석한 결과 생존 확률이 향후 20년 간 50%를 넘지 못했다. 환경부는 급히 러시아와 북한에서 유전적으로 비슷한 반달가슴곰을 들여와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양궁은 세트제양궁은 올림픽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이 강세를 보이는 종목이다. 국제양궁
연맹
은 올림픽과 같은 국제 대회에서 특정한 한 나라가 계속 상위 성적을 유지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점수 체계를 변경해 왔다.누적 점수 제도는 개인전에서 12발씩 쏜 점수를 더해 우승자를 ... ...
가슴 뜨거웠던 7일간의 기록, 국제수학교육대회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는 저명한 여성수학자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때문이지요. 제가 여성으로서
연맹
을 대표하는 것에 기뻐하는 여성수학자가 많다는 부분에 있어서도 기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것에 너무 크게 의미를 두고 싶지는 않습니다. 결국에 우리 모두는 성별에 관한 차이를 두지 않아야 하기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구력이 뛰어나다. 참고로 조랑말은 품종 이름이 아니라 키가 작은 말로 세계승마
연맹
의 기준에 따르면 148cm 이하일 때 조랑말로 분류한다. 제주마는 13세기 몽골이 고려를 정복한 뒤 제주도에 데려온 몽고말에 과하마로 불리는 토착 조랑말의 피가 섞이면서 토착화한 품종으로 보인다.제주대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전자호구는 2005년부터 퇴출 위기에 시달려온 태권도 종목을 지키기 위해 국제태권도
연맹
(WTF)이 내놓은 응답이다. 태권도의 위기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경기의 재미와 심판의 공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 중 심판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안이 바로 전자호구다. 펜싱은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탁구는 나무로 만든 직사각형 테이블 위에 네트를 설치하고, 공을 라켓으로 쳐 승부를 겨루는 게임이다. 여기 이 공 하나에 두 나라의 자존심을 걸고 오직 ‘금메달’을 위해 하나가 된 이들을 소개한 영화가 있다.영화 는 연습 방식, 생활 방식, 말투까지 전혀 다른 남북 선수들이, 남북 분 ... ...
V3도 못 찾은 바이러스, 청소년이 찾았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 한국 IT의 미래는 밝다. KSIA
연맹
은 앞으로 이런 활동을 함께 해나갈 동아리들의
연맹
가입을 기다리고 있다. 관심 있는 동아리는 KSIA 홈페이지(ksia.styx.in)를 방문해 보자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예측이 조금은 희망적으로 바뀐 셈이다. 인구 증가 추세가 언제 그칠까.국제인구과학연구
연맹
자문위원인 카트린 롤레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은 세계의 인구 동향을 다룬 저서 ‘세계의 인구’에서 “최근 인구학의 화두는 인구 안정화”라며 “90억에서 100억까지 인구가 증가한 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