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맹"(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천문학자] 밤하늘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되었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8개의 별자리는 1922년 로마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정해졌어요. 빈 점선 잇기 놀이판 같은 밤하늘에서 별자리라는 선을 찾아낸 것은 옛사람들이 가진 관점이 아닐까요? 이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사람은 이 세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그만큼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비용을 낭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1년 국제축구연맹(FIFA) 산하 국제스포츠연구센터(CIES)에서는 선수의 가치를 수치화하는 방법을 고안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2년 7월부터 2021년 11월 사이 유럽 5대 리그 팀(세계 4대 리그와 프랑스 리그1)에 소속된 선수의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사회를 이루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24년 1월 1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22년 세계 산업용 로봇밀도 1위 국가다. 여기에 더해 영국 언론사 토르토이스 미디어(Tortois Media)가 2023년 6월 28일 발표한 세계 AI 지수에 의하면 한국은 전세계 ... ...
- [숫자로 보는 뉴스] “속도보다 정확성! 스도쿠 꿀팁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4학년 이정진 학생이 우승했어요. 한국스도쿠 선수권대회는 한국브레인스포츠연맹이 주최하는 스도쿠 대회로, 10세 이하 부문에는 총 15명이 참가했어요. 1위부터 3위까지는 스도쿠 국가대표로 세계 대회에 나가지요. 이정진 학생은 한 문제도 틀리지 않고 모든 정답을 맞혀 우승을 차지했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도시숲에는 어떤 생물이 살아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함께 제비나비와 호랑나비, 네발나비 등 다양한 나비를 관찰했지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준위협종으로 지정된 큰주홍부전나비도 발견할 수 있었어요. “나무줄기를 자세히 보세요! 자유롭게 오르락내리락하는 새가 보이시나요?” 곽수진 연구원이 앙상한 나무를 가리키며 ... ...
- [꿀꺽! 수학 한 입] 기술과 예술 모두 완벽!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얼마나 아름답게 나타냈는지를 겨루는 스포츠예요. 2023년 3월에 열린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스케이팅 국가 대항단체전인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우리나라의 피겨 대표팀이 은메달을 목에 걸었어요. 여자 싱글 부문에서는 이해인 선수가 전체 1위를 차지했지요. 싱글 부문은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만 41세에 논문을 완성해서 필즈상 수상 기회를 놓쳤지만, 그의 업적을 높이 산 국제수학연맹이 1998년 필즈상 특별상을 줍니다. 이후 그는 아벨상, 울프상, 쇼상 등수학계 대부분의 상을 휩쓸어요. 1986년 와일스 교수에게 영감을 준 연구를 발표한 케네스 리벳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교수는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파괴돼 종 전체에 심각한 멸종위기를 가져왔다. 연구팀은 “그럼에도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는 한 종의 라플레시아(Rafflesia mira)만 등록돼 있어 라플레시아의 위급한 상황이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IUCN 분류 기준에 따르면 25종은 ‘위급(CR)’, 15종은 ... ...
- 천재성이 빛났던 순간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성과를 쌓아 필즈상을 31세라는 어린 나이에 거머쥔다. 당시 필즈상을 수여하는 국제수학연맹은 “그는 여러 수학 분야에 영향을 미친 뛰어난 업적을 세운 최고의 문제 해결사다. 그는 엄청난 기술력,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초자연적인 독창성, 자신만의 관점을 결합해 성과를 냈다”고 ... ...
- 따오기, 판다, 기린… 동물 외교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멸종 위기 야생동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8호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도 멸종 위기등급으로 분류돼 있다. 따오기가 원래부터 멸종 위기 동물이었던 것은 아니다. 1925년 ‘따오기’라는 동요가 발표됐을 정도로 우리나라에 흔한 철새였다. 그러나 근현대 시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