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말"(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이라고 적어놓은 것이다. 북한학자들은 이것을 이두식 표기(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던, 신라에서 발달한 표기법)가 아닌지 의심해보지만, ‘별 성’(星 )이 아니라 ‘푸를 청’(靑)이라고 적어둔 까닭이 무엇인지는 알 도리가 없다. 靑이란 것이 맑은 정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북두칠성의 ...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이용한 방바닥 또는 방을 통틀어 가리킨다.구들이 한민족의 생활에 얼마나 친밀했는지는 우리말의 여러 표현에서 찾을 수 있다. 가령 방이 어지러우면 “구들 좀 치워라”라고, 일자리를 잃고 놀고 있는 사람에게 “요즈음 어떻게 지내냐”고 물으면 “구들방만 지키고 있지”라거나 “매일 ... ...
-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과학동아 l2000년 12호
- und das Ganze, Gespr che in Umkreis der Atomphysik’이며, 1982년 김용준 교수(현 고려대 명예교수)가 우리말로 번역했다. 번역·출판된지 벌써 20년 가까이 됐지만, 지금까지도 꾸준히 교양과학 분야의 10위권에 포함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다. 번역자 김용준 교수는 유신과 전두환의 군사정권 .. ...
-
-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과학동아 l2000년 11호
- C. P. Snow, ‘두문화’의 저자)의 하디에 대한 회고록을 첨가해 1967년 다시 출판됐다(우리말 번역본, 김인수 옮김, 사이언스북스).수학은 창조적 예술이 책은 1부터 29까지 번호가 붙여진 수필 형식을 갖춘 짧은 글들의 묶음으로 구성돼 있다. 마치 깔끔한 수학적 정리를 연상시키듯 군더더기 없이 ... ...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과학동아 l2000년 10호
- 그저 '우리의 전통문화' '우리가 만든 자랑스런 올림픽 스포츠' '유일하게 외국인들이 우리말로 수련하는 무예' 정도일까.분명 태권도의 또다른 면에는 과학적 원리가 숨쉬고 있다.태권도가 올림픽 정식종목이 되고 전세계에서 오늘날의 문화적 위상을 갖기까지는 분명 다른 무술에는 없는 부분이 ... ...
-
- 정보에 날개를 단 무선단말기과학동아 l2000년 08호
- Digital Assistant)는 전자수첩과 노트북의 중간 단계에 있는 휴대용 컴퓨터에 해당한다. 우리말로는 흔히 개인정보단말기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일정관리, 달력, 주소록, 메모, 간단한 워드 기능, 팩스 송수신 등을 할 수 있다. 전자수첩과 유사한 점은 일정관리나 주소록 같은 기본적인 기능이 ... ...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과학동아 l2000년 07호
- 이러한 새소리가 사라져 버린, 그래서 죽음처럼 고요한 자연의 침묵을 그린 책이다(우리말 번역본 '이제 봄의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넥서스, 1999).카슨 여사가 '침묵의 봄'을 집필하게 된 동기는 1958년 1월 매사추세츠주에 사는 조류학자인 친구 허킨즈로부터 받은 한통의 편지였다. 편지는 정부 소속 ... ...
-
- 스노우의 두 문화과학동아 l2000년 06호
- 당시 강연의 제목은 ‘두 문화와 과학혁명’이었다. 1993년 새로 출판된 ‘두 문화’(우리말 번역본 : 오영환 번역, 민음사, 1996)에는 1959년의 강연 내용, 그 강연에 의해 촉발된 논쟁과 비평에 대해 저자가 1963년에 정리한 글, 그리고 1990년대에 쓰여진 스테판 콜리니의 해제가 함께 실려 있다 ... ...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쉬운 문장 번역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번역률을 계속 높여가기가 어렵다. 이는 영어와 우리말의 차이에서 기인한 여러가지 문제 때문이다.좋아지지 않는 번역률첫번째 문제는 문법변환방식을 적용하려면 각기 다른 형태의 구문을 번역기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놓아야 하는데, 영어 구문의 ... ...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승천할 때 나무를 꺾고 집을 부수는 모습’이 토네이도와 유사하다. 또한 용은 옛 우리말로 ‘미르’이다. 미르의 어근은 ‘밀-’로서 믈(水)과 같다. 때문에 용은 예로부터 물과 관계가 깊은 동물이다. 흔히 큰 호수나 강, 바다와 같은 물 속에 살며, 비와 바람을 몰고 다닌다고 생각돼왔다.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