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조약돌
돌멩이
쇄석
작은 돌
조개 껍데기
돌
d라이브러리
"
자갈
"(으)로 총 2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모래가 약 39억m³부존되어 있고 그중 약 20%인 7.8억m³가 이용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며,
자갈
은 약 10억m³가 부존된 것으로 추정조사되고 있다.90년대나 개발될 조력발전 연안에서 해수위(海水位)는 달의 공전주기인 24시간50분28초 동안에 2회에 걸처 상·하운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달의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수 있다. 섬 전체가 이 펭귄의 서식지. 봄이 오면 높은 곳의 눈이 먼저 녹는 산꼭대기에서
자갈
을 모아 만든 보금자리에 알을 낳은 펭귄이 가장 먼저 알을 부화시킨다. 아델리섬은 한국과학기지에서도 직선 바닷길로 10km 떨어진 거리에 있다. 킹조지섬 일대의 여러 섬들에도 물개 바다표범의 집단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수 없다. 물이 맑다고 해도 먹이가 없는 물에는 살 수 없으며 강바닥을 긁어 올려 모래와
자갈
을 채취한 먹이가 줄어든 준설 공사 직후의 하천보다는 먹이가 풍부한 오래된 저수지(주남)나 하천과 지류(낙동강 죽림강 지류)등지에 몰려들게된다. 그러나 앞으로 한강도 점차 안정된 생태계의 하천으로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쌓인 음지에서 뿌리를 얇게 뻗고 자라기 때문에 화단에 심을 때는 물이 잘 빠지도록
자갈
위에 심어야 죽지 않는다. 이외에도 닭의난초는 부엽이 두텁게 쌓인 습지에서 잡초와 함께, 나리난초는 활엽수림 아래의 부엽토에서, 감자난초 약난초 등은 산골짜기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자생하고 있으므로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거친 물은 미세한 찌거기를 걸러내는 여과지로 드어간다. 여과지에는 맨 밑바닥에서부터
자갈
모래 흡착력이 강한 굵은 활성탄가루가 차례로 깔려있다. 이 곳을 통과한 물은 맑기가 0.3~0.8ppm으로 산골짜기의 물보다 맑아진 것이라 한다. 깨끗한 물은 염소 멸균실의 소독을 거쳐 배수지로 간다.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 산호초가 한번 죽어버리면 바다밑바닥으로 허물어져내려 마치 기와조각이나
자갈
무더기가 쌓인 산처럼 된다. 바다물은 흐려지고 작은 고기들은 모여들지않게되어 이윽고 생물이 살지않는 바다가 되어버린다. 방파제로서의 힘도 없어져 지금까지 지켜주던 섬이 격랑에 씻겨가도 아무역할을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주로 된 것(90%이상의 純林인 곳도 있다)으로 저항령으로 가는 쌍천계곡의 바위와
자갈
로 덮인 물가에 난다. 잣나무 자연군락은 케이블카로 올라가면 권금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분비나무, 전나무군락도 표고 1천5백m이상의 높은 곳에서 흔히 본다. 이들 군락은 아고산대(亞高山帶) 또는 아한대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3천m까지 내려가는 심해저에는 망간 코발트 구리 등 40여종으로 구성된 망간덩어리가
자갈
처럼 깔려 있는데, 이같은 노다지를 자원으로 개발하여 이용하려면 각 분야의 해양과학기술이 망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부산수산대학도 해양대학과 마찬가지로 실습선을 보유, 근해는 물론 원양을 무대로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공법이 쓰였다. 그것은 양쪽에 널빤지와 막대기로된 울타리같은것을 세워 위에서 흙이나
자갈
을 조금씩 넣고 물을 부어 다져가면서 토벽을 쌓아 올리는 공법이다. 그리고 한대의 돈황(敦煌) 부근 성벽에는 버드나무류의 가지나 갈대등을 섞어 보강했다. 그리고 돈대(墩臺·망대)나 봉화대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을숙도를 포함한 지금의 김해평야는 낙동강 중류의 내륙분지로, 하상에는 입자가 큰
자갈
이 퇴적된 것이다. 후빙기에 바닷물이 접어들면서 서서히 불어나기 시작하자 낙동강하구는 한반도 육지쪽으로 후퇴, 기저역층 위에 하부사층이 퇴적되었으나 지금의 낙동강하구일대는 바닷물에 잠기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