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물
재배
d라이브러리
"
재배식물
"(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Ⅳ 별난 곰팡이 세가지: 고등생물과 공생하면서 환경운동도 펼쳐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일반적으로 곰팡이는 주요 먹이인 유기물질(대부분의 탄소화합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안이한 생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자연계의 특수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곰팡이들이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유기물질 중에서 좀처럼 분해가 되지 않는 목재만을 영양원으로 택하는 곰 ...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한여름 밤 미국 시카고에서 발생한 강간사건 이야기다. 남자친구와 멋진 저녁식사를 하고 돌아오던 제인(가명)은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아파트 입구까지 걸어가는 동안 갑자기 나타난 한 남자에 의해 납치됐다. 그리고 아파트 근처 숲속에 끌려가 폭행을 당했다. 새벽이슬에 젖어 겨우 정신을 차렸 ... ...
인간 우주 거주 4반세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인간의 고독한 우주생활이 시작된지 226년이 흘렀다. 최초로 우주를 삶의 터전으로 바꾼 살류트 이후 스카이랩과 미르는 인간을 우주인으로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그동안 우주정거장에서는 인간의 우주적응실험은 물론 동물교배실험, 식물재배실험 등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다. 또 지구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산불이 전세계적인 환경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열대우림은 지난 1백년간 지구상에서 가장 심하게 파괴가 진행된 곳이다. 열대우림의 가치와 그것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살펴본다.요즘 지구 전역에서 벌어지고 열대우림의 파괴는 모두가 한번쯤 그 ... ...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지난해 8월 말 미국 클린턴 대통령은 ‘담배는 마약(addictive drug)’이라고 선언했다. ‘미국 대통령 말씀’이란 무게가 실려 상당수 흡연자들의 주목을 끈 이 발언은 95년 8월 미국 연방식품의약국(FDA)이 니코틴을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는 ‘중독성 마약’으로 규정한 보고서를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 ... ...
패스파인더의 화성탐사 상상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바이킹 이후 20년만에 패스파인더가 1997년 7월 4일 화성땅을 밟을 예정이다. 패스파인더의 활약은 소저너에 달려있다. 소저너는 높이가 28cm, 길이가 63cm 밖에 되지 않는 꼬마 자동차로 화성땅을 누비며 토양성분을 조사한다. 또한 과거에 살았거나 현재에 살고 있는 생명체를 찾는 일도 주요한 임무다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몸무게 4배 이상의 흙덩이를 10억번 이상 끌어내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3백kg의 짐을 입에 문 채 시속 24km로 달리는 잎꾼개미. 철저한 분업으로 단칸방에서 시작해 지하 대도시를 건설하는 억척스런 살림꾼의 모습을 살펴보자.필자는 '동물 행동학' 분야의 젊은 권위자다. 1977년 서울대 동물학과를 졸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개미가 각자의 역할을 바탕으로 군락 경제를 운영하는 모습은 너무나 철저하고 일사불란하다. 작업장 내 분업에서 기업간 합작까지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경영관리의 노련미가 유감없이 발휘된다.개미에 얽힌 많은 얘기 중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것은 아마도 ‘개미와 베짱이’ 일 것이다. 무더운 ... ...
지렁이 이용, 죽은 땅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비 올 때면 땅위에서 꿈틀거려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는 지렁이. 그러나 지렁이가 사람과 생태계에 기여하는 역할은 무궁무진하다. 비옥한 땅을 만들고, 항암제 등 의약품 개발에 이용되는 것이다.흙은 인간의 생명을 낳아 기르는 조물주의 젖가슴이다. 그 젖가슴에서 샘처럼 솟아나는 젖은 사람 ... ...
2 '생물체 악영향' 명확한 근거 없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전자파의 유해론을 지탱하는 많은 연구들은 사회적 계층 및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전기 고압선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은 과학적인 방법보다는 단지 심증에 꿰 맞추어진 것이다.'문명의 빛'으로 불리는 전기는 오늘날 찬란한 현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