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집웅
덮개
맞배지붕
맞배
옥개
포장
d라이브러리
"
지붕
"(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아연을 도금한 것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내식성(耐蝕生) ·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여
지붕
· 연통 · 간판 · 전기기계 등에 사용된다아연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도금철판 표면의 아연이 조금 벗겨져 철이 노출되어도 전기화학적으로 내부를 보호한다 주기율표 제2B족에 속하는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하는 게 그의 바람이다.엔데버에 탑승한 우주인들의 주임무는 2주 동안 ISS에 새
지붕
틀을 붙이고 위아래가 없는 우주정거장에서 방향을 통제하는 일을 돕는 자이로스코프를 교체하는 작업이었다. 하지만 최초로 실시간 우주수업을 하며 우주개발의 주역이 될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전하는 일도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수mm밖에 몸을 들어올릴 수 없고 건물은 아주 낮고 단단하게 지어야 한다. 집에는
지붕
도, 천장도 없다. 또 매우 강한 자기장 때문에 물체는 자기력선을 따라 정렬하므로 자기력선을 가로질러 물체를 옮기는 일은 엄청 어렵다.중성자별에서 생체물질을 구성하는 원자핵에는 전자가 결합돼 있지 않아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방법이 이용된다또 방사분석을 방사화학분석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콘크리트 구조의
지붕
또는 벽체(壁體) 외부에서 물이 내부로 스미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을 가진 콘크리트 피경화재인 철강의 표면과 경화용 초경합금전극 사이에 주기적으로 불꽃방전을 일으켜 공구나 그 밖의 내마모성을 ... ...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박사학위도 못 받고 쫓겨나지 않을까 걱정했거든요. 실험실 근처에 있던, 골이 파인 함석
지붕
건물에서 반사된 전파도 아니었고 인공위성이나 다른 실험실에서 오는 신호도 아니었죠. 급기야 외계문명이 보내는 신호일지 모른다고 생각해 ‘작은 초록 외계인’(LGM)이라고 불렀어요. 하지만 몇달 뒤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기료가 줄어든다.사건 해결 - 전기 장수 허영감“아, 맞다. 우리 아들이 얼마 전에
지붕
에 뭘 설치하겠다고 했는데 내가 깜빡했네 그랴!”태양광발전은 오염물질을 만들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다. 게다가 태양에너지가 무한하고, 햇빛이 비추는 곳이면 어디서든 전기를 만들 수 있다.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서울시 푸른도시국은 2002년부터 옥상녹화사업을 시작했다. 올해부터는 ‘10만 녹색
지붕
만들기 사업’을 통해 옥상 공간이 100㎡ 이상인 건축물 가운데 심사를 거쳐 옥상녹화 공사비용을 절반 이상 지원하고 있다. 더불어 콘크리트 옹벽이나 방음벽, 담장에 담쟁이 같은 덩굴식물을 심는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하기 쉬운 물질이 위쪽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을 측정하려는 물체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 및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줄었기 때문이다. 200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아놀드 슈와제네거 지사가 ‘백만 개의
지붕
’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2018년까지 총 29억달러(약 2조 6000억원)를 설치비용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조금배 조선대 태양에너지실증연구사업단장은 “정부의 지원으로 태양광 마을의 수가 ... ...
만원지폐에 담긴 물리학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몰포 나비의 날개를 전자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나노미터(nm, 1nm=${10}^{-9}$ m) 크기의 기와
지붕
같은 단백질 구조가 층층이 쌓여 있다.나비의 날개에 빛을 쏘여주면 반사된 빛은 층의 두께에 따라 간섭현상을 일으킨다. 파랑과 연두색 파장 사이에 있는 빛은 보강간섭을 일으키는 반면 노란색이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