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집웅
덮개
맞배지붕
맞배
옥개
포장
d라이브러리
"
지붕
"(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5월, 자연을 닮은 과학상품 베스트 4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아름다운 나비’는 어떤 종일까? 바로 새파란 날개를 자랑하는 몰포나비다. 날개에 기와
지붕
처럼 규칙적으로 배열된 광결정(photonic crystal) 구조가 파란색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이다. 덕분에 세상에서 가장 신비로운 청색을 뿜어낸다. 몰포나비는 중남미 일대에만 서식하는 희귀종이라 ... ...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아연을 도금한 것 함석판이라고도 한다 내식성(耐蝕生) ·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여
지붕
· 연통 · 간판 · 전기기계 등에 사용된다아연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크기 때문에 아연도금철판 표면의 아연이 조금 벗겨져 철이 노출되어도 전기화학적으로 내부를 보호한다 주기율표 제2B족에 속하는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만들었다. 대신 박석 사이를 띄워 배수될 공간을 충분히 남겨뒀다. 비가 내리면 인정전의
지붕
을 타고 마당으로 물이 흘러내린다. 흘러내린 물은 지하로 빨리 배수돼 집수구를 통해 석실 구조로 이뤄진 배수로를 따라 궁 밖으로 나간다.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이선 교수는 “창덕궁의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또 고산(高山)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산악부 활동도 열심이었다. 중앙아시아의
지붕
파미르 고원에 있는 해발 7500m 높이의 ‘무즈타크 아타’(Muztagh-ata)를 한 달에 걸쳐 등반한 경험도 있다.이처럼 도전과 모험을 즐기는 고 씨에게 가장 짜릿한 즐거움을 선사한 탐험지는 다름 아닌 ‘인공지능’이다.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방법이 이용된다또 방사분석을 방사화학분석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콘크리트 구조의
지붕
또는 벽체(壁體) 외부에서 물이 내부로 스미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을 가진 콘크리트 피경화재인 철강의 표면과 경화용 초경합금전극 사이에 주기적으로 불꽃방전을 일으켜 공구나 그 밖의 내마모성을 ... ...
어과동이 선정한 2006 최고의 과학발명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가능한 일. 하지만 태양열로 움직이는 요트라면 얘기가 다르다.‘ 선 스트라이크’는
지붕
의 집광판으로 태양열을 받아 움직이는 신개념요트다. 심사평이렇게‘2006년을 빛낸 과학발명품’을 뽑아 놓고 보니 감회가 새롭구먼. 내가 전구를 발명한 게 불과 130년 전 일인데 말이야. 너무 훌륭한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섞어 말리면 훌륭한 연료가 된다. 히말라야나 티베트 사람들은 틈만 나면 담벼락이나
지붕
에 납작하게 빚은 야크의 똥을 널어 말린다.똥만 보면 다 알아똥을 통해 고대인들이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도 알 수 있다. 2200년 전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똥에서 DNA를 분석한 결과 쥐, 토끼, 물고기, 해바라기,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해만 끼치는 다른 귀신과는 달리 잘만 대해 주면 금은보화를 안겨 준다고 해서 대문이나
지붕
에 도깨비 모양을 한 장식을 많이 했습니다. 도깨비가 들어간 속담이 수두룩할 정도로 한국 사람들에게 친숙한 존재랍니다.하지만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도깨비의 모습은 진짜가 아니랍니다. 뿔이 달려 ... ...
휴전선 감시하는 군인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하기 쉬운 물질이 위쪽의 암층균열을 따라 상승하여 이를 밀어올려서 생기는 반구형
지붕
모양의 구조이다 길이 또는 두께의 측정량을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을 측정하려는 물체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 및 ... ...
마을숲은 한국형 생태도시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마을숲에는 느티나무, 팽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가 많다. 느티나무와 팽나무는 숲
지붕
을 만들어 시원한 나무 그늘을 제공하고, 소나무는 늘 푸르러 지조와 충절을 상징하기에 마을을 대표할 만하다. 상수리나무에는 도토리가 열리므로 흉년이 들어 음식이 부족할 때는 안성맞춤이다. 경상북도의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