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철학"(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그 둘레가 가장 작게 하려면 무슨 도형을 써야 할까?”이 문제는 기원전 36년 고대 로마 철학자인 마르쿠스 베로의 기록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정육각형이 답일 거라는 추측은 있었지만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어요. 그러다 1999년에 이르러서야 토마스 할스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수학과 교수에 의해 ... ...
- [영재교육원 탐방 7]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 숨어있는 다양한 가능성 찾는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학부모의 요청에도 기존 방식을 지키는 것은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만의 교육철학 때문이다. ‘더 많은 아이가 기존 학교 교육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재능을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이곳의 기본 목표다.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는 아직 다양한 학문을 접해보지 않은 어린 학생이 특정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신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요즘 기초에 집중하고 있는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 철학은 의외였다. 겉만 번지르르한 건물을 지을지, 보이지 않는 기둥이 튼튼해 오래 갈 수 있는 건물을 지을지는 자신의 선택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모습을 기대해 ... ...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람들 홀린 정다면체 정다면체는 많은 사람의 마음을 매혹시켰습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우주를 이루는 원소가 다면체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고,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케플러는 태양계를 정다면체와 연관시켜 설명했습니다. 각 정다면체 속에서 다른 정다면체를 발견할 수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과 그들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오래 전 자연과학이 지금의 철학(philosophy)과 동일한 단어였다는 사실을 새삼 떠올리게 된다. *강연 예고: 김 박사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은 사람이 머리를 써서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짝짓기! 두 무한 집합을 짝짓다 보면 무한 집합의 크기를 알 수 있었다. 이에 성직자, 철학자, 심지어 수학자까지 칸토어를 비난했다. 그도 그럴 것이 자연수 집합의 부분 집합인 짝수 집합의 크기가 자연수 집합이 크기와 같다고 주장하며 수천 년 동안 받들려 오던 유클리드의 5번째 통념 ‘전체는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여기에는 인간이 자유의지를 갖는다는 가정이 필요하고, 인간의 자유의지는 여전히 철학과 뇌 과학에서 첨예한 논쟁이 되고 있는 이슈다. 김상욱KAIST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희대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양자과학, 정보물리, 통계물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 ...
- [수학공작실] 정십이면체 플라워볼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다면체’라고 부른다. 플라톤 다면체와 그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피타고라스가 플라톤 다면체를 발견했다는 자료도 있는데, 다른 자료에서는 피타고라스가 사면체, 육면체, 십이면체에만 능했다고 기록돼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16세기 독일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화살을 주워 다시 쏘아요. 그러면 화살은 어디까지 뚫고 나아갈 수 있을까요? 기원전 철학자인 루크레티우스는 이란 책에 위와 같은 생각 실험을 썼어요. 그리고 화살이 무한히 나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지요. 혹시 화살이 벽에 부딪힌다면 그 벽 위에 올라서서 다시 화살을 쏠 수 있다고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부터 발효된다. 호박을 닦다가 전기를 발견하다기원전 600년 경 고대 그리스의 자연 철학자 탈레스는 양털에 문지른 장식용 호박이 실오라기처럼 가벼운 물체를 잡아당긴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마른 헝겊으로 책받침을 여러 번 문지른 뒤 머리카락에 대면 머리카락이 곤두서는 것과 같은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