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철학"(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역과 시대, 문화별로 파편화된 정보를 연결해 하나의 대서사를 구성한다. 한 마디로 말해 ‘모든 존재의 역사’다. 크리스천 교수는 “빅 히스토리는 시공간 전체를 그린 ... ...
-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학동아의 여덟 번째 생일 파티 초대장을 받고 파티가 열리는 곳으로 가는 중이야. 장소는 무한호텔! 1924년에 생긴 가상 공간, 무한호텔에서 파티를 한다니 왠지 무서울 것 같았는데, 다녀온 사람들은 모두 그곳에 다시 가고 싶어 해. 무한호텔은 어떤 곳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수의 한 구간, 예컨대 0 이상 1 미만인 실수는 무한히 많다. 문제는 실수를 셀 수 있느냐인데, 아무도 실수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리지 못했다. 자연수의 집합은 ‘1부터 시작해서 1씩 커지는 수로 이뤄져 있다’고 정의하지만, 0 바로 다음에 오는 실수가 무엇인지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실수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방법(6장) 등을 배울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과연 내게 자유의지가 존재하는가(4장) 같은 철학적 의문과도 마주친다. 결국엔 빅뱅 직후로 돌아가, 대체 어떤 우연한 사건들이 지금의 우주와 ‘나’의 존재를 만들었는지 이해하게 된다(1장).현실을 반영하고 예측하는 인공지능이 우연을 활용하고 있다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결론이 도출됐습니다.하지만 이 가설은 곧 뒤집어집니다. 1890년대 초 독일의 철학자이자 생물학자인 한스 드리슈는 성게의 배아가 4세포기일 때 세포들을 서로 떼어 내면 각각 독립적인 배아로 발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이상하죠? 운명론이 맞다면 세포들은 어떤 부분으로 발달할지 이미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이론의 바탕에 깔린 혁신적 사유를 조명한다.6월부터 진행 중인 두 번째 섹션 ‘과학/과학철학(11~21강)’에서는 시대를 바꾼 과학의 패러다임을 알아보고, 그 현재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덕환 서강대 교수와 장병탁 서울대 교수, 신국조 UNIST 석좌교수, 이필진 고등과학원 교수, 엄정식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가격이 슈퍼카의 정체성을 만들지 않는다”며, “자동차 회사가 오랜 시간 고심해 쌓은 철학이 디자인에 들어있을 때 비로소 슈퍼카로 거듭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입은 슈퍼카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창의성도 수학으로 평가한다이렇게 만든 곡의 가치는 어떻게 평가하면 좋을까.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창조성의 조건으로 새로움과 본보기를 제시했다. 어떤 작품이 이전의 작품에 비해 새로울수록, 또 후대의 작품이 해당 작품을 많이 따라할수록 창의성이 높다. 이런 창의성 개념을 이용해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후회에 관한 원칙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알란 헤이젝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철학과 교수는 이 문제와 비슷한 ‘케이블 기사의 역설’에서 ‘두 개를 선택해야 할 때, 미래의 내가 후회할 것이 거의 확실한 선택은 하지 말라’는 원칙을 남겼어.오후 3시 이전에 공주가 돌아온다는 쪽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물리학을 공부하고 분석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국민대에서 과학철학과 논리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언어와 사고의 기원, 양자역학의 존재론 등을 주로 연구합니다.사라가 노란 상자를 고른 이유노란 상자가 비었다는 정보의 가치는 문제를 낸 사라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