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담배 속 ‘이소시안산’, 대기 중에서 검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불을 피워놓고 실험한 결과 높은 농도의 이소시안산을 검출했다. 이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17일 자에 게재 됐다. 로버트 연구원은 “로스앤젤레스 도심과 산불이 난 콜로라도 주를 포함한 수많은 지역의 대기에서 이소시안산이 발견됐다”며 “가정에서 요리를 하거나 난로를 쓸 때도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교수는 선사시대의 인구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해 영국 왕립학술원
회보
에 발표했다. 존슨 교수는 이 모델이 유럽인이 정착하기 전까지 호주 원주민의 인구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했다. 홀로세(1만 년 전~현재) 말기의 원주민 인구수 변화는 아직 ... ...
죽은 ‘알바트로스’가 수은 중독 역사 밝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용해 19~21세기 조류의 중금속 오염결과를 연구한 결과를 4월 1일자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워싱턴대 버크 자연사문화박물관, 하버드대 비교동물학박물관 등에 전시중인 알바트로스 25마리를 조사했다. 이 새들은 일본 오키나와에서 미국 알래스카까지 태평양 전 지역에서 ... ...
귀로 앞을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대뇌피질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활성화된 것.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15일자에 실렸다.콜리그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가 감각기관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공간을 인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 ...
공룡화석 살펴보니… “고대 중국, 생각보다 추웠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이유는 추위를 견디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아미오 교수팀은 “이런 종류의 공룡은 초기 백악기(125~110만 년 전)에 살았다”며 “당시 이 지역의 기온은 10℃ 정도로 서늘했다”고 주장했다. 초기 백악기에는 지구 전반에 걸쳐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통계물리학을 이용한 이 연구를 지난해 12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었다. 정우성 교수가 직접 성공의 비밀을 설명한다.얼마 전 축구 국가대표 주장이었던 박지성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다. '새로운 캡틴 박'의 지위는 박주영 선수가 물려받았다. 올해부터 일본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피엔스와 비슷하게 가족을 이뤘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올해 1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린 연구는 심지어 며느리가 남편 집으로 시집을 온 게 아닌가 추측하게 도 하는 유전자 분석 결과가 나오기도 했어요.아, 저기 우리 할머니가 보이네요. 저를 키워주셨어요. 별로 놀라지 않네요?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호를 전달하는지 분자수준에서 규명해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1월호에 실렸다.연구팀은 ‘애기장대’에서 유전자 두 개(DELLA와 SCL3)가 상호작용하면서 지베렐린 농도를 세포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현상(항상성)을 발견했다. 지베렐린은 식물을 성장시키거나 ... ...
언어를 모르면 수 개념도 몰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3보다 큰 수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2월 7일자에 발표했다.니카라과의 청각장애인들은 수화 교육을 받은 적이 없고, 자신들이 만든 ‘홈사인’을 통해 소통한다. ‘홈사인’에는 3보다 큰 수를 가리키는 표현이 없어 실험에서 그들은 3까지는 정확하게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뉴런을 부추기기 때문에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과학원
회보
(PNAS)’ 작년 8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이 교수팀이 뉴런은 놔두고 미세교세포의 입만 막았더니 신경병성 통증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통증의 범인은 미세교세포인데 그동안 괜히 뉴런만 못살게 굴었던 것이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