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사
독살
거주
독기
뉴스
"
살기
"(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FACT&VIEW] 팸퍼스 ‘다이옥신’ 기저귀가 우리 집에 또 ….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봐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는 수많은 화학 물질이 처리된 물건을 1도 사용하지 않고
살기
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이제 매순간 매의 눈으로 비판적인 수용과 합리적 판단을 해야만 나와 내 가족의 건강을 지킬 수 있을지 모릅니다. 자신이 없다면 일회용품을 1도 쓰지 ... ...
법의 사각지대에 있는 ‘애견사료’ ‘애견카페’ 현실,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1.16
먹고 사는 문제인데요, 모호하고 애매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어떤 사람은 사람도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인데 어떻게 동물까지 신경 쓰느냐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같이 살자고 태어난 세상인데 둘이 같이 다 잘 살면 안되는 걸까요? GIB 제공 ● 한숨만 나오는 동물보호법 개정이 필요하다 ... ...
60년에 한 번 오는 붉은 닭의 해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01.03
인간의 뼈로 명확히 조사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지만,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곳에 집닭이
살기
때문에 틀린 말은 아니다. 매년 약 400억 마리의 닭이 도축되고 약 200억 마리의 닭은 그와 관계없이 항상 사육되고 있다. 닭의 용도는 단순히 식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매년 수백만 마리의 닭이 독감 백신 ... ...
우리 생태계의 핵심종을 지킨다!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2.30
수달이 우리나라에서는 멸종하지 않도록 계속 관심을 가져 주세요~! *수달사 : 수달이
살기
에 알맞도록 꾸며 놓은 곳. 도움★김형후(한국수달연구센터 연구원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① 산란계? 육계?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하지만 산란계는 좁고 한정된 공간에 아파트처럼 개체 수도 많은데다가, 육계보다 오래
살기
때문에 위생 관리나 방역활동이 자주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때문에 산란계가 육계보다 바이러스에 빨리 노출되고 감염된 것이지요. ※취재팀주 붉은 닭의 해가 시작됩니다. 닭은 예로부터 ... ...
축구장 크기 평면에서 0.2㎜의 요철도 잡는 측정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기판의 형상까지 측정하는 기술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좁은 땅에 여러 사람이
살기
위해선 집과 집 사이의 간격을 줄이거나 아파트처럼 층을 올린 건축물을 세운다. 반도체 역시 기판 위에 올라가는 소자의 크기와 간격을 줄이거나 여러 층으로 쌓아올려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0
개화하는 보통 꽃과 달리 100일 이상 개화가 이어지게 됐다. 한반도처럼 무궁화가
살기
엔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는 개화를 오래 지속해 더 많은 개체를 수정시킬 수 있는 무궁화가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생존을 위해 개화 기간이 길어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자생종 ... ...
과학자가 조류독감(AI) ‘과도하게’ 신경쓰는 이유는?
2016.12.19
사람만 감염되고 끝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농경이나 목축을 시작하면서,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했고 전염병도 그 위세가 더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전염병을 문명의 대가라고 하기도 합니다. 작년에서는 낙타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진(사실은 낙타도 중간 숙주이며, 박쥐가 원인일 가능성이 ... ...
미생물도
살기
어려운 ‘죽음의 바다’ 새롭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저산소 해역으로 비료나 생활하수 속 질소가 바닷물로 유입되며 만들어진다. 미생물조차
살기
어려워 흔히 ‘죽음의 바다’로도 불린다. 2008년에 집계된 것만 405개였으며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로라 브리스토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생물지구화학그룹 연구원팀은 인도양 벵골만 인근 해역에서 ... ...
인공지능이 꿈을 꾼다면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04
웹툰의 배경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사람의 꿈을 사고파는 시대. 가난한 청년들은 먹고
살기
위해 자신의 꿈조차 나이 든 부자들에게 팔아야 하는 처지에 놓인다. 반대로 부자들은 꿈에 담긴 생체에너지를 흡수해 잠을 자지 않고도 하루 24시간 일할 수 있다. 그렇게 부익부 빈익빈이 가속화되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