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뉴스
"
염색체
"(으)로 총 44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궁화 방사선 기술로 앙증 맞지만 강하게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골라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식물 종자나 묘목에 방사선을 쪼여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를 유발한 뒤 후대에서 우수한 형질을 가진 변이체를 찾아 새로운 유전자원을 발굴한다. 자연 상태에서도 낮은 빈도로 돌연변이가 발생하는데, 방사선 자극을 통해 돌연변이 발생 빈도를 높여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생물은 게놈이 2배체, 즉
염색체
한 쌍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감수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가 분리되지 않아 2배체인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면 3배체 또는 4배체(양쪽 다 이런 경우) 게놈을 지닌 수정란이 생긴다. 이 경우 발생과정에서 동물은 대부분 죽지만 식물은 종종 살아남는다. 2011년 미국 ... ...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보기 위해 혈관 내벽 세포와 신경아교세포 두 종을 추가로 실험했다. 하지만 주야 사이에
염색체
움직임이나 DNA 손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아펠바움 교수는 "일단 이런 메커니즘은 특별히 뉴런에만 작동하는 것 같다"면서 "향후 과제는 근육과 같은 다른 형태의 세포를 시험해 보는 것"이라고 ... ...
여성의 두 번째 X
염색체
조절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발생했다. 남 교수는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서 지스트 RNA 주요 부위의 변이와 X
염색체
재활성화 요인을 연구해 지스트 RNA와 질병 발생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애시드 리처시’ 지난달 20일자에 발표됐다. ... ...
동물은 왜 잠을 잘까…"수면 중 신경세포 DNA 손상 수리"
2019.03.06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잠을 잘 때
염색체
의 활동성이 증가하는 것은
염색체
를 구성하는 DNA 이중나선에 깨어있는 동안 발생하고 축적된 손상이 수리되는 데 필수적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 손상은 방사선이나 산화스트레스는 물론 신경세포 활동 자체에 의해서도 일어나고 개별 ... ...
임신중 '반일란성 쌍둥이'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8
과정에서 점점 모이면서 두 명의 쌍둥이를 만든다. 성별을 결정하는
염색체
인 X
염색체
와 Y
염색체
가 다른 정자가 들어오면 성별이 다른 쌍둥이가 태어나게 된다. 임신 중에 반일란성 쌍둥이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초음파 검사에서 보인 태반과 태아의 위치가 일란성 쌍둥이의 특성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메냐는 올림픽 여성 800m 3연패 할 수 있을까
2019.02.26
출전할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2009년 비공개 검사 결과 세메냐의 경우 XX
염색체
이고 여성 외부생식기를 지니고 있지만 놀랍게도 내부생식기는 남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누군가가 결과를 누설했다). 즉 자궁이 없고 고환을 지니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여성이 아니라 간성(intersex)이란 ... ...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
과학동아
l
2019.02.04
enhancer) 그룹이 발현할 유전자를 선택하고 활성을 조절한다”며 “이렇게 서로 다른
염색체
에 있는 유전자끼리 상호 작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86-018-0845-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3D 구조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난해 장 교수 연구팀은
염색체
를 형성하는 세포핵 내의 염색질을 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나노미터 단위로 세포를 관찰하면 수천 종의 세포에 대한 염기서열정보와 염색질의 메커니즘을 알아낼 수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국립암연구소 게놈다양성연구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설표범과 호랑이 아종 6종의 상
염색체
를 분석해 계보를 그렸다. 오늘날 전 세계 호랑이 6종은 하나의 공통조상 호랑이에서 분화됐다. 자료 : Current Biology /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위키피디아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