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뉴스
"
염색체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암세포 속
염색체
모습을 찍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표지에 담았다. 이번 호에는 위나 후두, 뇌 등 23가지 기관에서 발생하는 초기 암세포의
염색체
와 유전자들의 작용과정을 연구한 논문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하워드 창 미국 스탠퍼드대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23개 기관에서 발생한 401개 암세포 표본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결과물이 나오는 것 아닐까. 그렇지 않다. 게놈 차원에서 보면 기존 전통 육종법은
염색체
가 재조합되는 과정이고 이때 표적이 되는 유전자에 가까이 있는 여러 유전자들도 같이 바뀐다. 그 결과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를 잃는’ 일이 흔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게놈편집기술을 쓰면 원하는 ... ...
동성 쥐 사이에서 건강한 새끼 태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대리모 쥐의 난자에 주입했다. 그 결과 210개의 배아에서 모두 29마리의 건강한 쥐(암컷의 X
염색체
만 받았기 때문에 암컷만 생긴다)가 태어나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정상적으로 자라 다시 새끼(3세대)도 낳았다. 연구팀은 비슷한 방법으로 수컷에서도 단성생식에 성공했다. 김장환 ... ...
정은지 교수, NIH ‘새로운 혁신인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0.06
경쟁이 매우 치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 교수는 난치성 희귀 신장질환인 ‘상
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장질환(ADPKD)’을 치료하는 데 처음으로 경구 투여가 가능한 나노입자 치료제를 도입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ADPKD는 신장에 물집이 생기면서 기능이 감퇴되는 유전성 질환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풍선아트 같은 유전자 발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9
이들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골라내는 기술 진보가 이뤄지고 있다”며 “특정 메틸기가
염색체
에 작용하는 현상을 보다 확실히 연구하게 됐다”고 말했다. ... ...
남자가 자폐증 4배 더 많이 걸리는 이유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기대된다. 여러 연구자들이 여성 자폐증 환자가 더 적은 이유를 밝히기 위해 성
염색체
나 성호르몬 등에서 원인을 찾았으나 아직 명확히 밝혀진 사실은 없다. 다만 ‘여성 방어 효과’라는 가설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근 유전자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자폐증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때문에 무척 흥미로운 결과였다. 연구자들은 유전자 사냥에 뛰어들었고 이 유전자가 7번
염색체
의 짧은 다리 쪽에 있다는 결과를 1998년 학술지 ‘네이처 유전학’에 발표했다. 그리고 3년 뒤 마침내 유전자의 실체를 밝혀 학술지 ‘네이처’에 실었다. FOXP2라는 이름의 이 유전자는 아미노산 715개로 ... ...
“후쿠시마 원전사고 경험서 배우자”…日 미쯔야키 요시다 교수 초청 세미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또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권고 기준에 맞춰 방사선피폭 후
염색체
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개발 중인 ‘방사선의 생물학적 선량 평가 기준’과 관련해 연구센터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이처럼 해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평가 ... ...
밀 알레르기 없이...짜장면-빵 마음껏 먹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진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끼리 교잡을 반복했다. 그 과정에서 원래 한 쌍씩 존재하던
염색체
들이 세 배로 불어났고, 그 결과 불필요하게 중복된 염기서열이 많아졌다. 비유해 보면 오늘 자 ‘동아일보’를 인쇄하는 도중 전날 동아일보가 여기저기 잘못 섞여 들어가 인쇄된 것과 비슷하다. 처음 3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 판형동물은 단일종이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현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핵막이 있는 고등 진핵생물에서 히스톤 단백질은 핵 속
염색체
의 유지나 변형에 필수적이다. 히스톤단백질의 유전자 분석 결과, 판형 동물은 단일종이 아닌 서로 다른 속의 두 가지 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Fabian Deister and Hans-Jürgen Osigus 제공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