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위도"(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그리고 흑인의 뇌용량은 백인보다도 더 작다.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뇌용량 지도로 고위도 지역일수록 뇌가 크다. 1984년 논문을 발표한 인류학자들은 이 현상을 기후로 설명했다. 즉 아프리카에서 퍼져나간 현생인류가 추운 지역에서 체온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부피 대비 표면적의 비율이 낮은 ... ...
- [여기에 과학] 해가 진 다음 왜 바로 어두워지지 않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6.01
- 의 단계(혹은 그 반대순서)를 거치는데요. 그 길이는 위도와 계절에 따라 다릅니다. 위도가 올라갈수록 박명이 길어지는데, 극지방의 경우 밤에도 낮처럼 밝은 백야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태양이 수평선 아래로 6도 내려갈 때까지는 어느 정도 일상 생활이 가능하다 해 시민박명이라 ... ...
- 생산량 최대인 고구마, 북한 식량부족 해결에 제격과학동아 l2018.04.29
- 따르면 북한은 총 면적 320km²에서 연간 43만6000톤(t)의 고구마를 생산한다. 고구마는 위도가 높을수록 생산량이 증가해 북한이 남한보다 재배에 유리하다. 1990년대의 남한이 1만m²의 토양에서 22t의 고구마를 수확했지만, 북한은 현재도 1만m²에서 13.6t의 고구마를 수확하는 수준이다. 곽 ... ...
- [표지로읽는 과학] 야생‘馬’는 언제 사람에게 길들여졌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4.07
- 최북단 타미르 반도에 있던 고대 야생 말은 약 4만 2000년 전에서 5000년 전에 멸종했으며, 위도상 그보다 아래 쪽에 있는 북카자흐스탄에서 현대 말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고대 종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초기 청동기 시대때인 약 4000년 전에는 북카자흐스탄 지역에서 완전히 사육화된 말이 ... ...
- 中 우주정거장 ‘톈궁 1호’ 2일 오전 남태평양 해상 추락 예상동아사이언스 l2018.04.01
- 1시 12분 사이 남태평양 해상에 추락할 예정이다. 예상 추락지점은 뉴질랜드 북동 방향의 위도 -17.58도, 경도 200.37도(1일 오전 10시 30분 분석 기준)로 예측됐다. 최근 5일간 톈궁 1호는 하루(24시간) 평균 6.6㎞씩 지구와 가까워졌다. 1일 오후 4시 기준 톈궁 1호의 고도는 155㎞(근지점 기준)로, 24시간 ... ...
- 추락 중인 中 우주정거장 ‘텐궁 1호’ 어떻게 될까동아사이언스 l2018.03.21
- 북위 43도에서 남위 43도 사이로 넓다. 러시아나 몽골, 캐나다 북부, 북유럽 등 일부 고위도 지역을 제외하면 미국, 호주, 아프리카 전역, 호주와 뉴질랜드까지 예상 범위 안에 들어간다. 다만 실질적 피해는 거의 없을 것이라는 예측이 높다. 추락 중, 대기와의 마찰로 타서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 ...
- 한국의 봄, 십년 전보다 하루 일찍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8.03.02
- 먹이 등의 환경도 달라져 생물 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라며 "특히 앞으로 고위도 지방에서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면 봄이 오는 시기 역시 더 빨라질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남극의 기후변화 폭, 해마다 커진다동아사이언스 l2018.02.18
- 이 같은 현상을 추적했다. 그 결과, 따뜻한 홀로세 시기인 최근 1만1700년 동안 남극 고위도 지역에서 나타난 연간 기후변화와 세기간 기후변화 폭이 최후최대빙하기 때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존스 박사는 “이는 북극과 남극, 열대와 서부 남극 간의 기후 연계성이 더욱 강해졌다는 것을 ... ...
- 대만 지진에 무너진 호텔, 아래는 ‘단층대’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7
- 6일 밤 11시 50분경 화롄 인근 해상에서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진앙지는 위도 24.14도, 경도 121.69도 해상이며, 진앙 깊이는 10km라고 밝혔다. 같은 지진에 대해 미국지질조사국(USGS)은 규모를 6.4, 진앙 깊이를 10.6km로 발표했다. 이번 지진으로 4채의 건물이 무너지고 다리 두 곳이 ... ...
- [포토]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과학동아 l2018.02.02
- 그러나 지금까지는 정확한 위치와 구조, 두께 등을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화성의 중위도에서 가파른 경사면 8곳을 관찰했다. 그 결과 얼음이 마치 눈처럼 층층이 쌓여 퇴적됐으며, 표면에 노출된 얼음은 암석과 분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순수한 얼음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 결과는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